동아ST, 2형 당뇨병복합제 '슈가트리정' 한국약제학회 제제기술상
동아에스티는 최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서울에서 개최된 '2024년 한국약제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2형 당뇨병 복합제 '슈가트리정'이 제제기술상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약제학회 제제기술상은 매년 국내에서 발매된 의약품 중 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기술과 품질이 우수하고, 독창적인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슈가트리정은 제제에 사용된 제어방출 기술, 이층정 기술(약물 방출의 시간차를 유도해 체내 흡수를 최적화시키는 기술), QbD(설계 기반 품질고도화) 연구 등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당뇨병 치료에서 장기
장봄이 기자24.12.13 13:23
대웅제약, 밀라노 'CPHI' 참가‥'혁신 제제기술' 공개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 'CPHI Worldwide 2024'(이하 CPHI)에서 신약 '펙수클루'와 '엔블로'의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고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니들 의약품'에 도전하는 혁신 제제기술을 선보인다고 9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CPHI 2023에 참여해 2년 연속 신약 개발에 성공한 성과와 신약 펙수클루와 엔블로를 전 세계에 알렸다. 올해는 밀라노에서 '1품 1조' 비전 달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을 지속 확대하고, '혁신
최봉선 기자24.10.09 10:17
한국약제학회, '2024 제제기술워크숍' 개최…450여 명 모여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한국약제학회가 '2024 제제기술워크숍'(이하 워크숍)을 개최해 최신 제형 트렌드와 제제학적 전략을 공유하는 장을 마련했다. 20일 서울시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 가야금홀에서 '제형별 의약품 첨가제의 선택과 최적화 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번 워크숍 현장에는 약 450명의 제약학회 회원 및 제약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한효경 한국약제학회장은 인사말에서 "신기술 기반 혁신 의약품 개발은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발전을 견인하고,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전략적인
조해진 기자24.09.20 10:51
한국약제학회, 오는 20일 '2024 제제기술워크숍' 개최
한국약제학회(회장 한효경)는 오는 20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까지 각계 연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4 제제기술워크숍'을 서울시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제형별 의약품 첨가제의 선택과 최적화 전략'을 주제로 다양한 제제학적 첨가제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제제기술 기반 혁신 의약품 개발의 가속화 및 고도화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학계와 제약산업계의 훌륭한 실무 전문가들을 연자로 초청해 바이오의약품용 첨가제 및 제제기술, 복합제제용 첨가제 및 제제기술, 특수제형용 첨가제 및 제제
조해진 기자24.09.05 11:14
뜨거운 연구 열의 속 '제5회 제제기술포럼' 성황리에 마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제작형 첨가제의 특징이나 활용 기술에 대한 지식, 이해 등은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 이 포럼이 여러분들의 연구의 지경을 넓히는 유용한 정보 교류의 장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한국약제학회가 개최한 최신 제제기술 학문 교류의 장은 조용하지만 뜨거운 열기로 가득차 있었다. 참석자들은 발표자들이 전하는 실제 적용 사례 하나하나에 귀를 기울이며 향후 연구의 폭과 깊이를 더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한국약제학회(학회장 한효경)는 에보닉코리아(대표 최윤영
최인환 기자24.06.12 05:50
한국약제학회, 제5회 제제기술포럼 개최…최신 기술·학문 교류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한국약제학회(학회장 한효경)가 11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5회 제제기술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약제학회가 주최하고, 에보닉코리아(대표 최윤영)과 에보닉 한국 파트너 에이스바이오팜(대표 민병규)의 후원으로 개최됐다. 한효경 한국약제학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다기능성 제제학적 첨가제는 제재 기술 기반 혁신 개량 신약 개발을 촉진하고, 또 경쟁력 있는 우수 의약품 생산을 통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매우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가 있다"며 "이번 포럼이 현장에서 의약품 개발 관련 업무를 수행
최인환 기자24.06.11 16:52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본래 역할에 충실하라"‥의료계, 공단-심평원 중첩 업무 '불편'
2
버브 유전자편집 치료제 FDA 신속심사 지정
3
의대생 현역 입대 흐름 가속화…군·지역의료 어쩌나
4
"비만 넘어 항암으로"…한미, AACR서 국내 최다 연구성과 발표
5
약사회 '대선정책기획단' 구성…권영희 단장 필두로 정책 제안
6
[일문일답] 성남시의사회는 왜 분당서울대병원에 경고를 던졌나
7
분당서울대 PA 체계 전환에 성남시醫 반발…"협력 중단"
8
진양제약, 순환기약 호조에 최대 실적…설비투자·신약개발 박차
9
FDA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AI·오가노이드 등 대체 기술 성장 기회
10
"진료냐 과잉이냐"‥'검사 다종' 심사 놓고 의료계-심평원, 평행선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