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Co 허경화 대표 "K-블록버스터 신약개발에 힘 모아야"

후기임상 지원할 메가펀드 조성 필요성 강조…'민관공조'에 방점
파이프라인 선별·컨소시엄 구축 제언…"역량 집중하면 퀀텀 점프 가능할 것"

김창원 기자 (kimcw@medipana.com)2021-05-26 11:55

 

허경화.png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다수가 글로벌 진출에 도전하는 가운데 'K-블록버스터'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후기 임상시험을 지원할 수 있는 메가펀드 조성과 함께 파이프라인 선별과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역량 집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제약·바이오산업 진단과 이해'를 주제로 개최한 프레스 웨비나에서 KIMCo 허경화 대표는 'K-블록버스터 신약 탄생 가능한가'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 자리에서 허경화 대표는 "K-블록버스터 신약개발은 가능한 일"이라면서 "전략적으로 K-블록버스터 개발에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허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관련 자본은 크게 정부 지원과 민간펀드, 제약·바이오기업의 자체 투자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정부 지원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1조4747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지만, 기초연구와 초기개발단계에 집중되고 있다.
 
민간펀드 역시 초기연구와 초기개발단계의 스타트업, 바이오벤처 등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특히 IPO를 통한 수익회수 모델에 의존하고 있다.
 
제약·바이오기업의 자체 투자는 매출액 대비 R&D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규모의 한계로 인해 초기 기술수출을 통한 수익 창출에 의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K-블록버스터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이 직접 후기 임상까지 마무리해 글로벌 시장에 제품을 출시해야 하고, 여기에는 후기 임상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초대형 펀드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초대형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 대표는 "기술수출에서 후기임상개발을 통한 블록버스터를 만든다는 목표를 정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첫 번째로 후기임상을 감당할 수 있는 메가펀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메가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정부에서도 구성하려고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더 강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이 동참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투자자로서 정부가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고, 민관협력이 돼야 한다"며 "정부는 지원자가 아닌 투자자로 참여하고, 민간에서는 현물을 출자해 협업을 통해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허 대표는 K-블록버스터 창출을 위해 기존 파이프라인 중 국가대표가 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선별하고, 컨소시엄을 구축해 역량을 집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KIMCo에서 사전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은 약 180여 건 가량이며, 이를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30여 건 정도가 글로벌 시장에 내놓을 만한 국가대표 후보군으로 추려졌다. 이 같은 국가대표 파이프라인에 투자를 집중해야 K-블록버스터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유럽 IMI처럼 민간과 정부가 협력할 수 있는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을 제언했다.
 
허 대표는 "기업과 정부, 연구기관, 병원, 연구단체 등이 다 같이 참여하는 좋은 사례가 있다"며 "이를 벤치마킹해 한국형 PPP 플랫폼을 만드는 단초로 활용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각자도생은 아직 이르다. 글로벌 기업과 역량을 비교하면 아직 역량이 떨어진다"면서 "컨소시엄을 구축해 역량을 집결하면 K-블록버스터를 만들고 우리 제약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퀀텀점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