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27일 무기한 휴진 입장 선회…사실상 '유야무야'

안팎 비판에 개원가는 새로운 투쟁 대안 제시도…동력 미확보
'시점 명시한 휴진'서 '준비되는 대로 동참'으로… "사실상 무산"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4-06-25 05:58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27일 대한의사협회 차원 의료계 전체 무기한 휴진은 사실상 무산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개원가는 물론 의대 교수 측 동의도 얻지 못하면서 시점을 명시한 집단휴진이 아닌 직역별로 준비되는 대로 동참한다는 방침으로 선회하면서다.

24일 의협 최안나 대변인은 27일 무기한 휴진이 예정대로 진행되는지에 대한 기자 질문에 "세브란스를 시작으로 각 직역이 준비되는 대로 동참하신다"고 답했다.

이는 기존 발표보다 한참 물러난 입장이다. 앞서 임현택 의협 회장은 지난 18일 전국의사 총궐기대회 폐회사에서 "의대정원 증원과 의료농단 패키지 강요, 전공의·의대생 부당한 탄압 즉각 중단을 요구한다"며 "의사들의 정당한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우리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발표 직후 시도의사회를 비롯한 산하단체와 숙의를 거치지 않은 집행부 단독 결정이라는 반발에 부딪혔다. 현장에서 27일 무기한 휴진 발표를 들은 지역의사회장들은 독단적 결정에 분개하며 집행부와 선을 긋고 나섰다.

이후 집행부는 지난 22일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에서 27일 무기한 휴진을 논의하려 했으나, 위원들이 선을 그으며 무산됐다. 이날 회의에서 집행부 측은 27일 무기한 휴진을 논의하고 브리핑에 문구를 넣으려 했지만 시도의사회 측은 물론 의대 교수 측에서도 동의 표를 던지지 않으면서 무산된 것. 올특위가 27일 무기한 휴진에 대해 논의, 발표한다면 의료계 전반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는 무기한 휴진에 대한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의협 차원 무기한 휴진이 발표 후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사이, 개원가에선 새로운 투쟁 대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조병욱 의협 대의원은 23일 SNS를 통해 Mento-Menti Maching Program(MMMP) 전국 확대 안내문을 게재했다. MMMP는 조 대의원이 인천시의사회 전 총무이사 시절 기획해 호응을 얻은 선후배 의사 매칭 교류 시스템이다. 멘토-멘티 형태로 선후배 의사가 교류할 수 있도록 매칭하는 방식이다.

이는 지난 18일 의협 투쟁이 정부 발표 기준 14.9% 휴진율로 마치며 개원가 한계를 드러낸 가운데, 개원의로서 전공의나 의대생과 함께할 수 있는 새로운 투쟁 방식을 제시하는 차원이다. 조 대의원은 멘토로 참여할 선배의사 의견을 수렴한 뒤 규모가 파악되면 멘티로 참여할 후배의사를 모집, 매칭을 진행할 예정이다.

조 대의원은 "전쟁에 참여하는 모두가 전투병은 아니다. 전투병도 보급병도 행정병도 있다"며 "1차 휴진 14.9%는 선배들 의지는 보여줬으나 전투에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가장 강력한 전투병인 사직 전공의와 학생들이 앞서 나가 있다. 선배의사들은 그들이 지치지 않게, 외롭지 않게 보급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의협 차원, 의료계 전체 무기한 휴진이 안팎 공감을 끌어내지 못하자 결국 제대로 된 대정부 협상 카드로 쓰이지 못한 채 사라지게 됐다. 기존 발표에서 내건 의료계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진 않았지만, 선회한 입장을 발표한 것.

의협은 24일 주요사항 브리핑을 통해 "27일부터 연세대학교 의료원 소속 교수님들 휴진이 시작된다. 결정을 지지하고 존중한다"면서 "모든 직역 의사들이 각자 준비를 마치는 대로 휴진 투쟁에 동참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후 투쟁은 29일 올특위 2차 회의 결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한 지역의사회 관계자는 "의료계 전체 무기한 휴진은 숙의와 준비가 충분히 된 상태에서도 쉽지 않은데 섣불렀던 측면이 크다"며 "시점을 명시한 무기한 휴진에서 직역별로 준비되는 대로 동참한다는 것은 사실상 무산된 것 아니겠나"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보기

27일 무기한 휴진 선 그은 올특위…공은 의협 집행부로

27일 무기한 휴진 선 그은 올특위…공은 의협 집행부로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가 '27일 무기한 휴진'과 선을 그었다. 27일 무기한 휴진 여부에 대한 결정도 책임도 대한의사협회 집행부에 공이 돌아간 모양새다. 22일 올특위는 첫 회의를 열고 투쟁계획과 대정부 입장 등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올특위 브리핑에 따르면 앞으로 직역별 개별 투쟁이 아닌 체계적 투쟁계획을 함께 설정해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오는 25일 국회 청문회 등 논의과정과 정부 태도변화도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정부와 대화 의지도 내비쳤다. 2025년 정원을 포함한 의정협의에 참여할 의사

고립 자초한 독단…임현택, 때이른 레임덕에 '휘청'

고립 자초한 독단…임현택, 때이른 레임덕에 '휘청'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 집행부가 때이른 레임덕 우려에 빠졌다. 전공의는 물론 독단적 운영에 임계점을 넘은 시도의사회장들도 선을 그으며 고립된 모습이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16개 시도의사회장단 사이에선 임현택 회장에 대한 분노가 들끓는 분위기다. 시도의사회장 회의에 임 회장은 오지 말라고 건의하겠다며 선을 긋는 움직임은 물론, '이럴 거면 협회를 떠났으면 좋겠다'는 언급까지 확인된다. 트리거는 지난 18일 총궐기대회 현장에서 발표된 '27일 무기한 휴진'이다. 마지막 카드인 '무기한 휴진'을 결정

여의도만 뜨거웠던 의료계 투쟁…무기한 휴진 '삐그덕'

여의도만 뜨거웠던 의료계 투쟁…무기한 휴진 '삐그덕'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료계 집단휴진과 총궐기대회에 대해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다. 총궐기대회 투쟁 현장은 생각 이상으로 뜨거웠다는 평가지만, 정작 의료현장은 공백이 느껴지지 않아 미지근하다는 평가다. 의료계에선 18일 총궐기대회에 대해 '생각보다 높은 참여율에 놀랐다'는 반응이 나온다. 당초 평일 오후 진행하는 총궐기대회인 데다 30도가 넘는 폭염까지 더해지며 기대가 높지 않았지만 지난 3월 총궐기대회와 유사한 규모 인파가 모였다는 반응이다. 이날 주최측인 대한의사협회가 추산한 참여 규모는 4만 명이다. 2만 명으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