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 한 목소리…경제적 부담 등 해결 필요

의료계·비만 관련 예비사회적기업 관계자, 급여 필요성 강조
"치료 필요한 환자들이 경제적 부담에 비만 치료제 사용 어려워"
저소득층·소아 청소년 고도 비만 치료, 의사 한 명이 해결 못 해
"비만 인식 개선을 위해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하는 게 중요"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1-10 05:58

(사진 왼쪽부터) 남가은 대한비만학회 보험법제이사, 홍성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김유현 같이건강 사회적협동조합 대표(가정의학과 전문의). 사진=문근영 기자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비만 치료제를 보험 급여 의약품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 토론회에서 이어졌다. 의료계 전문가와 비만 관련 예비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비만법 제정 및 비만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는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 비만 기본법 제정, 비만 관리 종합 대책 마련, 비만 환자 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등 다양한 얘기가 오간 자리였다.

특히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은 토론회 참가자들이 공통으로 언급한 단어다. 이날 남가은 대한비만학회 보험법제이사(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부교수)는 비만치료제 급여 적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비만 치료 과정에서 악순환은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남 이사 발표 자료에 따르면, 환자 상당수는 비만 치료제 가격 부담으로 치료를 중단하고, 이는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비만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는 경우, 비만 심화를 비롯해 만성질환 발생 및 악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의료 시스템으로 관리하지 않거나 승인하지 않은 저렴한 약재를 쓰는 악순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남 이사는 "비만 대사 수술 외 비만 치료를 비급여로 진행하고 있는데, 이건 정부가 비만을 개인 문제이자 미용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결국 가장 중요한 문제는 비만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치료받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해외 사례는 남 이사 발언을 뒷받침한다. 일례로 한국과 유사한 보험 체계를 갖춘 일본은 비만치료제를 처방할 때 보험 급여를 적용할 수 있기에, 비만 환자가 의약품 가격에서 30%가량만 부담하고 있다.

남 이사는 "비만이 국민 건강이나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 중 하나가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이라며 "비만 치료가 시급한 환자를 대상으로 보험 적용을 우선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비만 치료가 시급한 대상은 비만 대사 수술 전·후 환자, 고도 비만 환자, 합병증을 동반한 비만 환자, 고도 비만 소아 청소년 등이다. 이는 남 이사가 체질량 지수(BMI) 25 이상인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보험을 적용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다며 언급한 내용이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홍성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무엇보다 저소득층이나 소아 청소년 고도 비만이 의사 한 명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비급여 상황에서 비만 치료를 진행하기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홍 교수는 "외래 진료를 볼 때 필요한 환자에게 비만 치료제를 권하면, 경제적으로 힘들다고 거부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고도 비만 소아 청소년도 그들이 잘못하고 게을러서 비만 상태가 된 것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소아 청소년이 환경적, 유전적 요인에 따라 비만이 된 것이기에, 국가에서 반드시 그들을 비만에서 벗어나게 해줘야 국가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가 인증한 예비사회적기업(같이건강 사회적협동조합)도 이번 토론회에서 비만 인식 개선을 위해 비만 치료제 급여 적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날 김유현 같이건강 사회적협동조합 대표(가정의학과 전문의)는 "비만 치료제를 건강보험으로 지원한다는 것만으로도 비만 치료를 받아야 하는 사람,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 사람으로 나뉠 것"이라며 "고도 비만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급여 적용이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FDA, 18년만에 비만치료제 개발 지침 개정

FDA, 18년만에 비만치료제 개발 지침 개정

지난 5일, 2025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시상식 사회를 맡은 코미디언 니키 글레이저는 오프닝에서 "오젬픽의 가장 큰 밤인 제8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 오신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는 노보노디스크 '위고비'나 일라이 릴리 '제프바운드'와 같은 임상적으로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치료하기 위해 승인된 약물과는 달리 오젬픽은 제2형 당뇨병치료제로 승인됐지만, 레드 카펫 등장을 위해 날씬해지기를 희망하는 유명 연예인들에게는 '오프 라벨(off-label)'로 처방되는 약물로도 만연해 있음을 나타내는 말이었다. 일

젊은 성인 2형 당뇨 증가…"비만 인구 증가와 관련 깊다"

젊은 성인 2형 당뇨 증가…"비만 인구 증가와 관련 깊다"

식습관, 생활습관 등의 변화로 만성질환이라 불리는 생활습관병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당뇨병은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으로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합병증이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과거에는 중년 이상의 나이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젊은 층의 환자들이 늘어나면서 젊을 때부터 당뇨에 각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당뇨병 환자 수는 383만771명으로 2019년 321만3412명에 비해 약 20% 증가했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당뇨병

[2024결산③] '비만치료제'로 시작해 '비만치료제'로 끝났다

[2024결산③] '비만치료제'로 시작해 '비만치료제'로 끝났다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비만치료제가 연초부터 연말까지 제약바이오업계 이슈다. 기술 이전으로 시작해 비대면 처방 금지로 이어지는 흐름은 비만치료제를 빼놓고 올해 제약바이오업계를 이야기할 수 없는 상황을 보여준다. 비만치료제 올해 첫 번째 이슈는 LG화학 희귀비만증 신약 'LB54640' 기술 이전이었다. 지난 1월 LG화학은 미국 업체 리듬 파마슈티컬스(Rhythm Pharmaceuticals)에 LB54640 글로벌 개발 및 판매 권리를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 규모는 3억500만달러다. 선급금은 1억달러이며,

대웅제약, 협업 통한 '월 1회 비만치료제' 개발 추진

대웅제약, 협업 통한 '월 1회 비만치료제' 개발 추진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티온랩 테라퓨틱스(대표 임덕수), 대한뉴팜(대표 이원석), 다림바이오텍(대표 정종섭)과 '비만 치료 4주 지속형 주사제'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새롭게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 치료제 대비 효과적인 약물 방출과 지속성을 강화했다. 대웅제약은 티온랩 테라퓨틱스, 대한뉴팜, 다림바이오텍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비임상부터 임상, 개발, 허가까지 각 사의 역량을 모아 신속하게 개발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티온랩 테라퓨틱스의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과체중 비율, 동아시아 4개국 중 가장 높아

한국 소아청소년 비만·과체중 비율, 동아시아 4개국 중 가장 높아

국내 연구진이 최근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4개국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을 비교한 결과,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이 가장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홍용희 교수‧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경제학 연구실 박수진 연구원‧한국보건의료연구원 설아람 박사‧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윤 교수 공동연구팀이 진행했다. 공동연구팀은 'NCD 위험 요소 협력(NCD Risk Factor Collaboration)'의 소아청소년 비만율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내달 2일부터 비대면진료로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처방 제한 

내달 2일부터 비대면진료로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처방 제한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내달 2일부터 비대면진료를 통한 비만치료제 '위고비' 처방이 제한된다. 29일 보건복지부는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이같은 방침을 공개했다. 처방 제한은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지침(의료기관용, 약국용)' 개정을 통해 시행한다. 이에 따라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은 내달 2일부터 비대면진료를 통해 비만치료제를 처방해서는 안 된다. 이번에 처방이 제한되는 비만치료제는 ▲리라글루티드 함유제제(비만치료에 한함) ▲세마글루티드 함유제제(비만치료에 한함) ▲터제파타이드 함유제제(비만치료에 한함) ▲오르

건보공단, "韓 비만기준, 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건보공단, "韓 비만기준, 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2024년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 기준을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 비만 기준인 체질량지수(BMI : Body Mass Index) 25 이상을 국내 상황에 맞게 최소 체질량지수(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2~2003년 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최대 847만 명을 21년간 추적 관찰해 체질량지수(BMI) 수준별로 사망과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정도를 분석한 결과로, 빅데이터를 활용

비만 진단기준 충돌…政 "상향 조정돼야" vs 學 "유지 필요"

비만 진단기준 충돌…政 "상향 조정돼야" vs 學 "유지 필요"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비만 진단기준 상향 조정 필요성을 놓고 학계에 의견차가 확인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상향이 필요하다는 의견인 데 반해 대한비만학회는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고 있다. 대한비만학회는 13일 성명서를 내고 "대한비만학회는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동반 위험을 선별하기 위해 비만 진단기준을 반드시 현재의 체질량지수(BMI) 25kg/㎡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확고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발표한 것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전문가 단체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