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FDA 허가신약 71건 전망…제약바이오 투자는 상승세

글로벌 의약품통계기관 이밸류에이트 시장전망 조사
지난해 FDA 승인 신약 50여건, 올해는 70건 돌파 전망
FDA 신약 5년차 매출 약 22조원 예상…GLP-1 매출 상승세 지속
글로벌 제약바이오 VC규모 낙관 전망, 면역학 등에 집중

장봄이 기자 (bom2@medipana.com)2025-02-03 05:54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 신약은 2023년과 비슷한 71건 정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제약바이오 투자 시장은 지난해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일 한국바이오협회가 발표한 글로벌 의약품통계기관 이밸류에이트 조사에 따르면, 올해 FDA 신약 승인 전망은 2023년 71건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FDA 신약 승인 건수는 50여건을 기록했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40여건으로 집계됐다. 

FDA 승인을 받은 신약의 5년차 매출은 약 150억달러(약 22조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약 매출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올해도 글로벌 의약품 매출 1위는 MSD '키트루다'가 약 300억달러(약 44조원)의 최고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한 층 더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MSD는 키트루다의 특허 만료를 앞두고, 향후 피하주사(SC) 제형 변경과 승인을 통해 특허방어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자료=의약품통계기관 이밸류에이트
이와 함께 당뇨병·비만 치료제인 GLP-1 유사체 약물의 올해 글로벌 매출은 약 700억달러(약 102조원)를 돌파할 것으로 분석된다. 

노보 노디스크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과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약 400억달러를 기록하고, 릴리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와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가 약 300억원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별 매출 전망은 로슈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차지할 전망이다. 이어 MSD, 애브비, 일리아 릴리, 존슨앤존슨, 노보 노디스크, 아스트라제네카, 노바티스, 화이자, 사노피 등의 순이 예상된다.

당뇨·비만 치료제를 내놓은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가 매출 증가세에 힘입어 올해 10위권 안에 안착할 예정이며,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 매출 급감의 영향으로 9위권까지 밀려날 전망이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벤처캐피탈(VC) 투자 현황은 2021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투자 건수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VC 투자 규모는 2023년 투자의 절반 수준인 약 100억달러(약 14조원)에 그쳤다.

다만 올해는 지난해 투자 상승세를 기반으로 낙관적인 시장 전망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면역학, 염증성 질환, 대사 질환, 항체-약물 접합체(ADC), 방사성 의약품 등 치료 분야로 자금이 집중되는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공개(IPO) 시장 거래 규모는 2022년 급감한 이후 지난해까지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IPO 거래 규모는 약 40억달러, 거래 건수는 약 30건으로 추산됐다. 

인수합병(M&A) 시장은 2023년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올해는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규제 완화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시장도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보기

"신약 개발에 'RWD' 외부대조군 활용 위한 정책 지원 필요"

"신약 개발에 'RWD' 외부대조군 활용 위한 정책 지원 필요"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제약업계에서 '실사용 데이터(Real-World Data, RWD)' 외부대조군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24일 최남경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과 교수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포커스(KPBMA FOCUS) 23호'를 통해 의약품 전주기에서 RWD 외부대조군이 쓰일 수 있도록, 정부가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국내에서 RWD 연구를 수행하고 실사용 증거(Real-World Evidence, RWE)를 평가할 수 있

올해 의약품 허가 예산↑…신약허가 수수료, 인력 확충 영향

올해 의약품 허가 예산↑…신약허가 수수료, 인력 확충 영향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의약품 등 허가·심사 관련 식품의약품안전처 세입·세출 예산이 전년 대비 120억원 이상 늘었다. 신약 허가·심사 수수료 확대, 인력 확충 등 허가·심사 체계 변화가 예산 증가로 나타난 모양새다. 23일 정부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는 올해 일반회계 세입 예산 중 '면허료 및 수수료(수입대체경비)'가 309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본예산 251억원 대비 58억원(22.9%) 늘어난 규모다. 면허료 및 수수료 증가는 식약처가 지난 1일부터 신약 허가&

HK이노엔, 4분기 P-CAB 신약 '케이캡' 상승세 지속

HK이노엔, 4분기 P-CAB 신약 '케이캡' 상승세 지속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HK이노엔이 P-CAB계열 위식도역류성질환 신약 '케이캡'의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지난해 4분기 시장 전망치에 부합하는 성적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키움증권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HK이노엔의 4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2463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4.8% 상승한 259억원이 예상된다.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2%, 9% 정도 하회하는 수치지만, 증권사 추정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HK이노엔 신약 케이캡은 P-CAB계

큐라클, 알츠하이머 신약 CU71 본격 연구개발 착수

큐라클, 알츠하이머 신약 CU71 본격 연구개발 착수

큐라클은 차세대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CU71을 기반으로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회사는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과의 사전미팅(Pre-IND) 신청을 통해 전체적인 개발계획을 확정하고 임상 1상에 최대한 빠르게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CU71은 퇴행성 뇌질환의 주요 발병 원인이자 악화 요인으로 주목받는 BBB(혈액뇌관문) 기능장애와 신경 염증(Neuro Inflammation)을 개선하는 차별화된 기전을 가진 First-in-Class 경구용 치료제다. 큐라클은 지난해 7월

한미약품-GC녹십자,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승인

한미약품-GC녹십자,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승인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세계 최초 월 1회 피하투여 용법으로 공동 개발 중인 파브리병 치료 혁신신약의 글로벌 임상에 본격 돌입한다. 한미약품과 GC녹십자는 지난 9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파브리병 치료제 'LA-GLA(HM15421/GC1134A)' 임상 1/2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작년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2상 진입을 위한 IND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이번 식약처 승인으로 다국가 임상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임상 시험에서는 파브리병 환자를 대상으로 L

대원제약, '펠루비에스정' 출시…국산신약 12호 펠루비정 명성 이어

대원제약, '펠루비에스정' 출시…국산신약 12호 펠루비정 명성 이어

대원제약은 자사 해열진통소염제 '펠루비정'에 신규염을 추가한 신제품 '펠루비에스정'을 출시한다고 13일 밝혔다. 펠루비프로펜 성분의 펠루비정은 2007년 출시된 국산 12호 신약이다. 소염진통제로 출발해 2017년 급성상기도감염의 해열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하며, 처방의 폭을 넓힘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 펜데믹 이후 코로나 환자 등 호흡기 계통 환자를 중심으로 처방이 급증하며 주목받고 있다. 펠루비 시리즈(펠루비정, 펠루비서방정)는 유비스트(UBIST) 기준으로 2022년 412억 원, 2023년 475억 원에 이어 202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