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고 설명·주의의무 논란 반복…한국형 'EMTALA' 언제쯤

위풍선 제거 내시경 설명주의의무 위반 과실치사 판결 논란
판사마다 감정마다 달라질 수 있는 판결, 명확한 가이드라인 필요
응급의학醫 "美 EMTALA 같은 가이드라인, 이제는 만들어야"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2-13 06:00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설명·주의 의무가 대두되는 의료사고 판결 논란이 이어지며 의료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판사마다, 감정마다 판결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형 'EMTALA(Emergency Medical Treatment and Labor Act)' 같은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을 시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한 내과 전문의는 설명주의의무 위반 과실치사 소송에서 1·2심 실형을 선고받고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사건은 2020년 5월 비만치료를 위한 위풍선 시술 환자가 제거를 요청해 응급내시경을 진행했지만 환자가 사망하며 발생했다. 이 전문의는 응급내시경을 준비하며 전화상으로 환자 금식 여부를 확인했지만, 실제 내시경을 시행하자 금식이 되지 않은 상황임을 확인해 즉각 중단했다. 그러나 환자는 회복 과정에서 구토하며 흡인이 발생해 CPR까지 진행됐고, 상급병원으로 전원 후 흡인성폐렴과 위천공 소견으로 사망했다.

결국 유가족은 민형사 소송을 걸며 재판이 진행됐고, 민사에선 60% 환자 과실과 일부 의사 과실이 인정돼 배상금을 지급했다.

그러나 형사 소송에선 금식 여부를 X-ray, CT 등으로 더 확인하지 않고 구두로만 확인해 사고가 발생했을 것이란 논리가 등장했고, 이 같은 과실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도 문제삼으며 집행유예 없는 의료과실치사 금고 1년 실형이 선고됐다. 해당 전문의는 1심에선 무죄를 주장하다 2심에선 인정하고 합의를 시도하며 불리한 위치에 놓인 상태로 판결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대한의사협회는 12일 입장문을 내고 이 같은 판결은 필수의료 죽이기 가속페달이라고 밝혔다. 음식물이 폐로 넘어가 발생한 흡인성 폐렴은 환자 사망 주원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내시경 의사에게 형사처벌을 선고했다는 이유다.

응급상황에서 이뤄지는 내시경 시술의 경우 신속한 문제해결이 우선인 만큼 환자 금식여부와 무관하게 진행하는 것이 치료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전신마취 수술 역시 금식이 필요하지만, 응급수술의 경우엔 금식여부를 따지지 않는 것과 같다는 설명이다.

반복되는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선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원에 가지 말아야 할 사건이 법원 판결을 받게 되면서 판사는 '어떻게든' 판결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판사마다 감정마다 설명·주의 의무에 대한 해석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이유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미국 EMTALA와 같은 응급의료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EMTALA는 응급의료에 관련된 미국 법률이다. 환자에 대한 주의 의무를 사례별로 정했고, 이를 충분히 지켰을 땐 면책 근거로 작용된다는 설명이다.

실제 2015년 미국 응급의학 의사는 심한 복통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찾은 환자에게 EMTALA에 따라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혈액검사, CT 촬영 등을 진행한 결과 응급질환이 의심되지 않아 통증 조절 후 퇴원 조치했다. 환자는 다른 병원에서 복부 동맥류 파열로 사망해 유가족이 소송을 제기했으나, 책임을 면했다. EMTALA에 따라 선별검사 기록과 결과, 의학적 판단 근거를 문서화한 덕분이다.

2012년 미국 응급의학 의사는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은 환자가 중소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자 EMTALA 이송 규정을 준수해 즉시 대형 트라우마 센터로 이송했다. 이송 중 환자가 사망하자 유족은 소송을 제기했으나, 의사와 병원은 책임을 지지 않았다. EMTALA 규정에 따라 즉각적 안정화 조치 후 더 나은 치료가 가능한 기관으로 안전하게 전원했다는 점이 인정되면서다.

이 회장에 따르면 미국이 EMTALA를 구체화하기까진 20~25년 정도가 소요됐다. 이미 15년 전부터 이 회장은 한국형 가이드라인 필요성을 보건복지부에 건의하고 있지만, 방향에만 동의한 채 의지와 동력은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복지부에 EMTALA를 15년간 15번 이상은 건의했다. 미국은 구체화까지 20~25년 정도가 걸렸는데, 복지부는 그 정도 장기적 안목을 갖고 일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면서 "이제는 EMTALA와 같은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의료사고 감정부, 의료인 비중 확대 구성 두고 논란 

의료사고 감정부, 의료인 비중 확대 구성 두고 논란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의료사고 감정부에 의료인 1인을 추가해 2인 이상으로 구성하는 논의가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에서 논의된 가운데 이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감정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해당 사고의 전문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감정부 구성에서 의료인 비중만 확대해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는 지난 16일 의료사고에 대한 객관적 실체 규명을 위해 감정위원인 의료인, 법조인, 소비자 위원 간 역할을 정립

국회, 응급실 수용거부 정당사유 검토 착수…현장 해법 될까

국회, 응급실 수용거부 정당사유 검토 착수…현장 해법 될까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국회가 응급실 수용거부 '정당한 사유'를 정의하기 위한 법안 논의에 나선다. 배후진료 불가로 환자를 수용하지 않은 병원에 내려진 행정처분 철퇴가 적법하다는 법원 판결이 나와 응급의료 현장이 분개하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에선 근본적 해법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오는 4일 제2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법안 19건을 심사한다. 이번 소위에는 지난달 논의하지 못한 법안이 상정됐다. 의료계가 주목하는 법안은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이 발의한 응급의료법 개정안이다. 개정안은 ▲응급의료종사자

응급실 떠나는 의사들…'사법리스크·자부심 회복' 시급

응급실 떠나는 의사들…'사법리스크·자부심 회복' 시급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응급실을 자부심으로 지키던 의료진이 사법리스크로 현장을 떠나고, 이는 다시 사법리스크 확대로 이어져 이탈을 가속하는 악순환에 빠졌다는 진단이 나온다. 실효성 있는 사법리스크 완화와 응급의료체계 정상화 정책이 시급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응급의료도 수십 년 전 수준으로 회귀하거나 폐과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8일 류정민 서울아산병원 소아전문응급센터 교수는 국회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 주최 '벼랑 끝 응급의료, 그들은 왜 탈출하는가' 정책토론회 발제를 통해 이 같은 진단을 내놨다. 류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