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해외 매출 '신기록'…원료 수출↑·비중 확대 눈길

지난해 해외사업 실적 3070억…매출 회복 흐름 이어져
이전 최대 실적 상회…HIV 치료제 등 원료 수출↑영향
해외 파트너 기업과 협력 강화…신규 수출 계약 체결
해외사업 부문 매출 확대, 유한양행 매출 증가에 기여
유한양행 매출서 해외 비중 감소했으나, 최근 다시 늘어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2-13 05:58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이 해외사업 부문에서 회복세를 넘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원료 수요 증가, 파트너 기업과 협력 강화 등 요인에 따른 수출 확대가 실적 증가로 나타났다. 아울러 해외사업 부문은 유한양행 매출액에서 비중이 증가하면서 국내 제약사 최초로 매출액 2조원을 돌파하는 데 기여했다.

12일 유한양행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해외사업 매출액이 651억원으로 전년 동기 328억원 대비 98.4%(323억원) 늘었다. 해외사업 매출액이 지난해 3분기 누적으로 전년 대비 증가한 데 이어 4분기까지 흐름이 이어졌다.

유한양행은 실적 호조로 해외사업 부문에서 신기록을 달성했다. 이 회사가 분기 보고서에 기재한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과 4분기 실적을 더하면, 지난해 해외사업 매출액은 3070억원이다.

이는 실적 성과뿐만 아니라 2017년 이후 나타난 매출액 감소를 회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공시에 따르면, 유한양행 해외사업 매출액은 2017년(2608억원)을 기점으로 2020년(1561억원)까지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회복세가 나타나 시점은 2021년이다. 유한양행은 2021년 당시 해외사업 부문에서 매출액 1653억원을 기록했다. 1653억원은 전년 1561억원과 비교해 5.9%(92억원) 증가한 규모다.

해외사업 매출액 증가 흐름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유한양행 해외사업 매출액은 2022년 2111억원에서 2023년 2419억원까지 늘었으며, 지난해 들어 2017년 매출액을 넘어 3000억원 수준으로 올라섰다.
유한양행 해외사업 매출액이 증가한 이유는 에이즈치료제, 자가면역치료제 등 의약품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원료 수출이 늘어서다.

회사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원료의약품 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 계약 규모가 커졌다"고 말했다. 아울러 유한양행은 공시 자료에서 대면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통해 해외 파트너 기업과 협력을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파트너 업체 발굴 및 신규 계약 체결로 수출을 늘렸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수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품목 및 거래처 다양화를 통해 매출액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이루겠다고 부연했다.

최근 이 회사가 맺은 다국적 제약사와 맺은 계약은 대표적인 사례다. 지난해 유한양행은 해당 계약에 따라 올해 9월까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에 약 8089달러 규모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치료제 원료를 공급한다.

아울러 유한양행은 유한화학을 거쳐 해당 원료를 길리어드에 수출한다. 유한화학은 유한양행이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로, 고객사와 계약을 맺은 유한양행에서 의뢰를 받아 원료를 생산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유한양행 매출액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외사업 부문 매출액 확대가 유한양행 매출액이 증가하는 데 기여했다는 얘기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을 2조678억원으로 잠정 집계했다. 이는 전년 1조85900억원과 비교해 11.2%(2088억원) 증가한 규모로, 국내 전통 제약사 가운데 매출액 2조원을 넘어선 첫 사례다.

사업 부문별로 구분 시, 해외사업은 유한양행 매출액 성과를 뒷받침했다. 메디파나뉴스가 유한양행 매출액에서 해외사업 비중을 계산한 결과, 지난해 연결 매출액 2조678억원에서 14.8%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사업이 유한양행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재차 커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해외사업 비중은 2017년 17.8%에서 매년 줄어 2020년에 9.6%까지 감소한 바 있다.

비중 확대는 해외사업 매출액이 증가한 2021년부터 나타났다. 해외사업 비중은 2021년 9.8%로 전년 대비 0.2%p 늘었으며, 2022년에 11.9%를 기록해 다시 두 자릿수로 올라섰다.

아울러 2023년 들어 13%로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 15%에 근접하며, 유한양행 매출액이 늘어나는 과정에서 한 축을 담당했다.

관련기사보기

유한양행, 연결·별도 매출 2조 돌파…국내 제약 첫 사례

유한양행, 연결·별도 매출 2조 돌파…국내 제약 첫 사례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이 국내 전통 제약사 가운데 처음으로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조원을 넘어섰다. 12일 이 회사는 공시에서 지난해 연결 매출액이 전년 1조8590억원 대비 11.2% 증가한 2조678억원이라고 밝혔다. 이어 매출액이 증가한 요인으로 지배회사 및 종속회사 매출액 증가, 라이선스 수익 증가를 꼽았다. 같은 기간 유한양행 영업이익은 매출액과 달리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유한양행 연결 영업이익은 477억원으로 전년 570억원과 비교해 16.4% 줄

유한양행, 지난해 연결영업익 477억…전년比 16.4%↓

유한양행, 지난해 연결영업익 477억…전년比 16.4%↓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은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477억원으로, 전년 570억원 대비 16.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678억원으로 전년 1조8590억원 대비 11.2%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480억원으로 전년 1342억원 대비 64.3% 감소했다.

유한화학, 유한양행 API 생산기지…매출↑·인프라 투자 지속

유한화학, 유한양행 API 생산기지…매출↑·인프라 투자 지속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 자회사 유한화학이 모회사 원료의약품(API) 공급을 돕고 있다. 유한화학은 매출 성장세를 확인하며, 생산 인프라 투자를 이어가는 중이다. 20일 유한양행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미국 제약업체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치료제 생산에 쓰이는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같은 날 맺었다고 밝혔다. 계약 금액은 지난 19일 최초 고시 환율 기준 8089만달러(약 1077억원)로, 지난해 유한양행 연결 기준 매출액 1조8590억원 대비 약

유한화학, 글로벌 수준 제조 품질관리 역량 재확인‥미래 성장 발판 마련

유한화학, 글로벌 수준 제조 품질관리 역량 재확인‥미래 성장 발판 마련

유한화학(대표이사 사장 서상훈)이 글로벌 수준의 제조 및 품질관리 역량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유한화학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ANVISA) 실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5일 밝혔다. 이로써 글로벌 수준의 생산 및 품질관리 역량을 갖춘 국내 최고 원료의약품 제조회사의 입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다. 이번 FDA 실사는 미국 수출 원료의약품에 대한 승인 전 실사(Pre Approval Inspection)와 정기실사로 5일간 진행됐다. 엄격한 FDA의 우수 의약품 제조&middo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