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 열풍 일으킨 노보, 국내서 흥행…매출 전년比 63%↑

노보 노디스크제약, 2024년 매출 3746억·영업익 136억원
폭발적인 위고비 국내 수요에 삭센다 등도 '풍선 효과' 얻어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4-01 11:55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당뇨·비만 치료제 강자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국내 매출 성장세가 매섭다. 매출에서 전년 대비 60%대 성장률을 보이며 회사로선 첫 연매출 3000억원 시대를 열었다. 

1일 노보 노디스크의 한국법인인 노보 노디스크제약이 최근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제31기(2024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은 약 3746억원을 기록, 전년(2302억원)대비 약 62.7% 증가했다.  

매출에 비례해 회사 수익률도 개선됐다.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36억원으로 전년(83억원) 대비 63.8% 증가했다. 

매출 증대 요인으로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출시를 꼽을 수 있다. 위고비는 노보 노디스크에서 개발한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비만 치료제로 지난해 10월 15일 국내 출시됐다.   

이 약물은 1주 1회 투여만으로도 68주간 평균 15%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이면서 글로벌 히트상품이 됐다. 국내서도 10월 출시 첫 주부터 비만 개원가를 휩쓸며, 품절 대란이 벌어졌다.   

위고비 열풍 덕에 같은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삭센다(리라글루타이드)'도 '풍선 효과'를 누렸다. 삭센다는 위고비와 달리 1일 1회 피하주사로 투여하는 방식이다. 

위고비 출시 전후로 GLP-1 치료제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지면서 덩달아 삭센다까지 품절 현상까지 이어진 것이다. 

업계는 또 위고비로 인해 2023년 다소 생산이 지연됐던 회사 다른 품목들의 공급이 작년 들어 다시 풀리면서 이에 따른 효과도 봤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실제 노보 노디스크제약 성장호르몬제 '노디트로핀'은 국내 성장호르몬제 치료 시장에서 2019년 2분기 처방액 116억원, 2020년 2분기 176억원, 2021년 2분기 219억원을 달성해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여 왔다. 

그러다 2022년 4분기부터 2023년 일부까지 노디트로핀 국내 공급이 지연됐다. 위고비와 오젬픽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폭발하면서 회사가 생산을 GLP-1 계열 치료제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보 노디스크가 2022년부터 꾸준히 의약품 생산 시설에 대한 투자액을 늘리면서 공급 지연 문제는 자연스레 해결됐다. 노보 노디스크는 2022년 덴마크 칼룬보르 지역 내 원료의약품(API) 생산시설 확장에 나선데 이어 2023년 12월엔 아일랜드 제약사 앨커미스의 의약품 생산 시설을 매입했다. 

또 노보 노디스크 지주사인 노보 홀딩스는 작년 2월 세계 2위 바이오 위탁개발제조기업(CDMO) 카탈런트를 165억달러에 인수했다. 해당 제조 시설은 의약품 멸균 충전에 특화된 곳으로 노보 노디스크와 계속 협업해왔다.  

이 가운데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올해 매출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위고비 국내 매출이 올해부터 본격화되는 만큼, 매출 성장세는 당연하다는 게 업계 전망이다. 

한 다국적 제약사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위고비가 전 세계에서 돌풍을 일으킨 만큼, 국내 매출도 글로벌 추이를 따라가지 않겠나"라며 "신약 급여 등재 여부에 목메야 하는 타 제약사로선 (노보 상황이) 부럽다"고 말했다.

한편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매출 성장세는 최근 5년으로 살펴봐도 꾸준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2020년 매출 1699억원에서 ▲2021년 1889억원 ▲2022년 2190억원 ▲2023년 2302억원 ▲2024년 3746억원으로 무려 2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매출을 증감률로 따져 봐도 약 120.4% 상승한 금액이다. 

매출에 비례해 회사 수익률도 개선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영업이익은 2020년 38억원에서 ▲2021년 76억원 ▲2022년 111억원 ▲2023년 83억원 ▲2024년 136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58% 증가했다.
 

관련기사보기

3개월된 '위고비'가 바꿀 비만치료…인식변화·급여화 뒤따라야

3개월된 '위고비'가 바꿀 비만치료…인식변화·급여화 뒤따라야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꿈의 비만약'으로 불리던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국내 출시 3개월이 지났다. 비만치료 현장에선 혁신적 옵션으로 평가하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왜곡돼 있던 비만치료 행태에 더해 비만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인식까지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많은 현실이다. 이에 메디파나뉴스는 내과 전문의이자 대한비만학회 개원이사인 이창현 서울행복내과 원장을 만나 위고비 출시 이후 비만치료 현장 변화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먼저 이 원장은 위고비가 왜곡된 비만치료 현장을 바꿀 수 있는 약이라고 평가했다.

'젭바운드' 따라잡은 '위고비'...고용량서 체중 20% 감소 확인

'젭바운드' 따라잡은 '위고비'...고용량서 체중 20% 감소 확인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비만 치료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고용량이 일라이 릴리 '젭바운드(터제파타이드)'에 필적할 만한 체중 감소 효과를 거뒀다.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세마글루타이드 용량을 7.2mg까지 늘려 투여한 글로벌 임상시험에서 평균 20%의 체중 감소를 보였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는 최근 글로벌 임상 3b상 시험인 STEP UP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STEP UP 연구는 72주 동안 세마글루타이드 7.2mg과 세마글루타이드 2.4mg, 위약을 1:1:1로 비교한 효능 및 안전성 시

한국 노보 노디스크,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 신임 대표이사 선임

한국 노보 노디스크,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 신임 대표이사 선임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2025년 3월부터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Kasper Roseeuw Poulsen)을 신임 대표이사(General Manager)로 선임한다고 5일 밝혔다. 캐스퍼 로세유 포울센 신임 대표이사는 2006년 노보 노디스크에 합류한 후, 유럽, 남미, 아시아태평양 전역에서 재무, 전략, 조직개발, 상업적 파트너십 및 운영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그는 최근까지 노보 노디스크 아시아태평양 지역(APAC region)의 재무 및 운영 부문 부사장으로서 20개 이상의 국가를 총괄했으며, 그

노보 노디스크, 지난해 4분기 순이익 29% 증가

노보 노디스크, 지난해 4분기 순이익 29% 증가

2024년 10~12월 결산실적 공개 [메디파나뉴스 = 이정희 기자]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29% 증가하면서 282억 덴마크 크로네(미화 약 39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노보 노디스크가 5일 발표한 2024년 10~12월 결산실적에 따르면 매출액은 30% 증가한 856억 크로네(약 119억3300만달러)로, 매출액과 순이익 모두 애널리스트 예상을 웃돌았다. 판매지역이 확대된 비만증 치료제 '위고비'가 실적을 견인했다. 이 시기 위고비의 판매액은 198억 크로네(약 27억6000만달러)로,

"노보 어위클리·카그리세마, 2030년 블록버스터 지위 획득"

"노보 어위클리·카그리세마, 2030년 블록버스터 지위 획득"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노보노디스크 당뇨병·비만 치료제 2품목이 향후 5년 이내 블록버스터(연매출 10억달러 이상) 위치에 오를 거란 예측이 나왔다. 주인공은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최초 주 1회 피하주사형 인슐린인 '어위클리(AWIQLI, 인슐린 아이코텍)'와 GLP-1과 췌장 호르몬인 아밀린 유사체까지 이중 작용하는 '카그리세마(CagriSema)'다. 글로벌 시장분석기관 클래리베이트는 1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블록버스터 신약(Drugs to Watch)'을 발간했다. 블록버스터 신약 보고서는 향후 5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