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에 발목 잡힌 B형간염 치료…급여기준 개선 목소리

임영석 교수 "ALT 정상이어도 최대 40%는 간섬유화 진행"
B형간염 환자 조기 치료 땐 간 질병 발생률 79% 감소
"ALT 수치 제외해 조기 치료토록 급여기준 개선할 것"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4-24 05:55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교수. 사진=최성훈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바이러스 역가는 높아도 ALT(간효소수치)가 정상이면 현행 B형간염 급여기준에서 제외된다. 예를 들면 불이 났는데도 연기가 안 나오는 경우가 ALT 정상수치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교수가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조기 치료 대상 확대를 강조했다.

급여기준 개선을 통해 B형간염 환자를 적시에 치료한다면, 국내 간암 발생률까지 낮출 수 있다는 제언이다. 이를 위해선 국내 만성 B형간염 급여기준에서 ALT 수치를 삭제해야 한다고 했다.  
 
임 교수는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2025 간염 아카데미’에 강연자로 나와 이같이 밝혔다.

임 교수에 따르면 B형간염은 B형간염 바이러스(HBV)에 의해 유발되는 간염으로, 염증, 진행성 간 손상, 만성 간질환 등을 유발한다. 또 간암 발병 주요 원인 중 61%가 B형간염일 정도로 관련 치료와 관리 중요성은 매우 높다. 

아울러 B형간염은 C형간염과 달리 아직 '완치(Cure)' 개념이 없는 바이러스 질환이다. 현재로선 B형간염 바이러스를 최대한 억제하는 게 최선의 치료 전략이다. 

다행히 2010년대 들어 바이러스는 억제하면서 내성은 0%인 만성 B형간염 치료제들이 생겨났다. 'TDF(테노포비르디소프록실푸마르산)'나 'TAF(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헤미푸마르산염)'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다. 

그럼에도 여전히 만성 B형간염 환자에 대한 조기 치료는 힘들다는 지적이다. 엄격한 B형간염 급여기준 때문이다. 

임 교수는 "B형간염 급여고시를 보면 바이러스 역가를 충족키면서 간 효소수치인 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가 비정상적으로 나와야만, 급여 대상으로 분류된다"면서 "최초 B형간염 치료제가 개발된 25년 전 사용 기준을 현재까지 쓰다 보니 이런 급여기준이 생긴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로 인해 국내 B형간염 진단율은 85%로 높지만, 치료약을 복용 중인 환자는 21%에 그친다는 것.

즉 국내 만성 B형간염 치료 가이드라인과 급여기준에서 ALT 수치를 제외해야만, 간경변과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   

임 교수는 "바이러스 역가가 낮고 ALT 수치가 정상이라면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문제는 바이러스 역가가 높은 사람"이라며 "하지만 역가가 높더라도 ALT 수치가 낮다는 이유로 급여기준에서 제외된다. 막상 ALT가 정상인 사람들을 가지고 조직 검사를 해보면, 이들 중 20~40%는 간섬유화가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에 임 교수는 B형간염 조기 치료 중요성을 입증하고자 ATTENTION 연구를 주도했다. 이 연구는 임 교수가 제 1저자로 참여해 한국과 대만의 22개 기관에서 진행된 다국가, 다기관, 전향적 임상시험이다. 

기존 치료 기준 사각지대에 있는 정상 또는 경미하게 상승된 ALT 수치를 가진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TAF의 조기 치료 효과를 분석한 최초의 RCT(무작위배정) 연구다. 

올해 발표된 ATTENTION 4년치 중간 분석 결과에 따르면 TAF 조기 치료군의 주요 간 관련 임상 사건 발생률은 연간 100명당 0.33명으로 관찰군(1.57명)에 비해 발생위험이 79% 감소했다. 

특히 정상 ALT 수치군에서는 TAF 치료군 내 간 관련 사건이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반면, 관찰군에선 8건 보고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054)를 보였다. 

임 교수는 "만성 B형간염 치료 급여기준에서 ALT 수치를 제외하고 바이러스 역가 기준만 남긴다면, 치료 환자와 비용은 60만명, 5000억원까지 추가로 늘어날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그렇지만 엄청나게 비용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035년까지 국내 간경화 환자 4만3000명을 예방할 수 있다"면서 "간암 환자도 3만7000명을 예방할 수 있다. B형간염 치료 가이드라인을 개정해 심평원과 내년 급여기준 개선 논의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B형간염 치료 시점 바꾸면 연 3000명 간암 예방 가능

B형간염 치료 시점 바꾸면 연 3000명 간암 예방 가능

B형간염 치료 시점을 간수치에서 바이러스 수치로 바꿔 치료를 일찍 시작하면 연간 3000여 명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복잡한 B형간염 치료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바이러스 수치로만 단순화한다면 오히려 사회적 비용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제언도 나온다. 7일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최원묵 교수팀은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 9709명을 대상으로 간암 발생 위험을 수년간 추적관찰한 연구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 혈액 내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100만 단위에서 멀어질수록,

B형간염 환자가 사단법인까지 만들어 전한 메시지 '조기 복용'

B형간염 환자가 사단법인까지 만들어 전한 메시지 '조기 복용'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비급여로라도 B형간염 복용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한 환자는 직접 나서서 사단법인까지 만들었다. 민경윤 사단법인 간환우협회 회장은 최근 간환우협회가 발행한 '행복나눔' 제5호에서 'B형간염이면 빨리 베믈리디를 복용해야 하는 이유'라는 글을 작성했다. 이 글이 전하고자 하는 핵심은 '비급여라도 일찍이 B형간염 치료제 복용을 시작해야 한다'다. 이같은 주장은 민 회장 경험에서 비롯된다. 민 회장은 간경변을 진단받고 ALT 수치가 국내 급여기준에 해당되고

길리어드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디' 제네릭 공습 다가온다

길리어드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디' 제네릭 공습 다가온다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길리어드사이언스의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디(성분명 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헤미푸마르산염)'의 제네릭 품목의 허가가 시작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5일 동아에스티 '베믈리아정'을 허가했다. 베믈리아정의 성분은 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시트르산염으로 오리지널과 다른 염을 사용했다. 아울러 베믈리아정은 우선판매품목허가까지 받아 내년 9월 15일까지 독점적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동아에스티는 베믈리아정의 허가와 함께 보험급여를 신청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통상적으로 제네릭 품목의 급여에는 3개월 가

"만성 B형간염 환자, 간암뿐 아니라 '다른 암'도 위험"

"만성 B형간염 환자, 간암뿐 아니라 '다른 암'도 위험"

(좌로부터)서울대병원 이정훈 교수, 보라매병원 이동현 교수, 정성원 임상강사 [메디파나뉴스 = 박민욱 기자] 만성 B형간염 환자는 간암뿐만 아니라 위암, 폐암, 대장암 등 ‘간 밖에 생기는 암(이하 간외암)’ 위험도 높다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만성 B형간염이 있으면 비감염자보다 간외암 발생 위험이 높고,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위험도가 다시 비감염자 수준으로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정훈 교수팀(서울시보라매병원 이동현 교수·정성원 임상강사)이 776,380명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