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엑셀세라퓨틱스, 중간엽줄기세포 화학조성배지 美 FDA DMF 등록 완료
엑셀세라퓨틱스가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배지인 'CellCor MSC CD AOF'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원료의약품 등록(DMF, Drug Master File)을 완료했다. 이로써 엑셀세라퓨틱스는 배지 업계에서 최고 수준의 국제적 공신력을 획득하여, 세계 최대인 미국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 진출을 비롯하여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설 채비를 마쳤다고 25일 밝혔다. 중간엽줄기세포(MSC) 배양 화학조성배지(CD, Chemically Defined Media)가 미국 FDA의 DMF 등록에 성공한 것은 국내 최초다. DMF란 의약
국제백신연구소, 세스 버클리 박사 등 신규 이사 2인 임명
국제백신연구소(IVI)가 공중보건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인 세스 버클리(Seth Berkley) 박사와 스리슈티 굽타(Srishti Gupta) 박사를 IVI 이사회의 신임 이사(비상임)로 임명했다. 감염병 예방, 백신 접근성 확대 및 백신 정책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보유한 두 전문가의 이사회 합류로 IVI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저렴한 백신을 발굴 개발 보급하는 미션 수행에 더욱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스 버클리 박사는 수십년 동안 세계 공중보건 분야에서 헌신해 온 인물이다. 최근까지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의 CEO
-
이대약대·약국학회, 제2회 감염병 예방 및 접종교육 프로그램 진행
'제2회 감염병 예방 및 접종교육 프로그램'이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대한약국학회 공동 주관, 한국임상약학회·대한약사회·경기도약사회 후원으로 23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관에서 진행됐다. 앞서 대한약국학회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는
-
서울대병원, 디지털 기기 사용 늘수록 근시 위험 증가 입증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늘어날수록 근시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특히 하루에 디지털 스크린 노출 시간이 1시간씩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생 확률은 21% 증가했으며, 1시간에서 4시간 사이의 노출 시간 증가에서 근시 위험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
고관절, 삶의 질부터 생명까지 영향…건강 지키는 방법
고관절은 걷기와 달리기 같은 다리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체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관절이다. 고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통증도 문제지만, 보행 장애로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퇴골두 골괴사로, 우리나라 고관절 질환의 약 70
-
호흡기 바이러스 연중 기승 '호흡기 감염 검사' 주목
올 겨울 유행했던 독감이 완화세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 안심하기 이른 상황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월 5주차(1월26일∼2월1일) 의원급 의료기관 외래환자 1천명 당 독감 의심환자 수는 30.4명으로 전주(36.5명)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독감 유행기준(8.6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