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 27년 매출 1조

지난해 세노바메이트 매출 4656억으로 회사 성장 견인
"세노바메이트 매출 증가 및 중국 NDA 마일스톤 유입 덕분"
상반기 중 도입 제품과 시너지로 매출 확대 전망
올해 매출 7254억·영업익 1699억원 예상

장봄이 기자 (bom2@medipana.com)2025-02-07 11:51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명 엑스코프리)'를 내세워 실적 개선을 본격화 한 가운데, 2027년 세노바메이트의 매출 1조원 달성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7일 회사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는 지난해 매출 4656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출시 4년 만에 얻은 결과다. 

세노바메이트 매출 상승세에 힘 입어 SK바이오팜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회사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은 5476억원, 영업이익은 96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54.3% 증가, 흑자 전환을 이룬 것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6% 상승한 1630억원이었으며,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749% 증가한 407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적 개선 요인은 미국에서 세노바메이트의 견조한 성장과 더불어, 중국에서 세노바메이트 신약승인신청(NDA) 제출에 따른 마일스톤 약 210억원 유입으로 분석된다. 

이희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특히 세노바메이트는 원가가 저렴한 저분자 약물 특성상 매출 총이익률 90%, 영업이익률 18% 수준의 높은 이익률 기록에 크게 기여했다"면서 "미국에서 월별 처방 건수도 경쟁 약물 대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노바메이트는 국내에서 독자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미국에서 직판망을 구축해 상업화까지 성공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세노바메이트의 올해 매출은 약 6600억원이 전망된다. 또한 2027년 매출 1조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연구원은 "3세대 뇌전증 치료제 중에 압도적인 발작 소실율이 21%, 실처방 데이터 축적과 마케팅 강화 효과, 소아 발작 및 전신발작으로 적응증 확대 등에 따라 세노바메이트의 매출 1조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가 시장 안착에 성공함에 따라, 매출 확대 가속화와 신규 연구개발(R&D) 등에 재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상반기 중에는 미국에 구축한 정신질환 분야 영업망을 활용할 수 있는 두 번째 제품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엑스코프리 외에 두 번째 제품 도입을 노력 중으로 상반기 도입 소식이 기대된다"면서 "현재 품목을 알 수 없지만, 도입 제품이 무엇인지에 따라 제품 간 시너지 효과와 매출 상승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했다.

SK바이오팜의 올해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32.5% 성장한 7254억원이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6.4% 증가한 1699억원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세노바메이트 매출 가속화와 R&D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지난해 대비 마케팅 비용 400억원, R&D 비용 300억원 이상을 증가시킬 예정"이라며 "이 중 미국에서 세노바메이트 광고비로 약 200억원 지출해, DTC 광고 개시와 영업 인력을 확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SK바이오팜, 4분기 美 매출 성장으로 사상 최대 연간흑자 달성

SK바이오팜, 4분기 美 매출 성장으로 사상 최대 연간흑자 달성

SK바이오팜은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통해 지난해 연간 흑자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지속적인 미국 내 성장세 및 활발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바탕으로 세노바메이트 단일 매출로만 이룬 쾌거다. SK바이오팜 지난해 매출은 5476억원, 영업이익은 963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내 매출은 약 4387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62% 성장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매출 성과에 대해 "마일스톤과 같은 일회성 매출의 도움 없이 세노바메이트 매출 성장

SK바이오팜, 4분기 연결영업익 407억…전년比 175%↑

SK바이오팜, 4분기 연결영업익 407억…전년比 175%↑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SK바이오팜은 지난해 4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 407억원으로 전년 동기 148억원 대비 175.0%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630억원으로 전년 동기 1268억원 대비 28.6%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864억원으로 전년 동기 87억원 대비 2031.4%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실적으로는 연결 기준 매출액 5476억원, 영업이익 963억원, 당기순이익 227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54.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SK바이오팜, 올해 매출 6900억 전망…세노바메이트 성장 효과

SK바이오팜, 올해 매출 6900억 전망…세노바메이트 성장 효과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SK바이오팜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가파른 성장세 영향으로 올해 매출 6900억원을 실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2일 증권가에서는 SK바이오팜이 올해 매출 6928억~6955억원, 영업이익 1597억~1875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실적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가 뇌전증 치료제 시장에서 한 자리 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수출 국가를 확장하고 있어 매출 상승 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상상인증권

SK바이오팜, 美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직접 진출 선언‥JV 설립

SK바이오팜, 美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직접 진출 선언‥JV 설립

SK바이오팜(대표이사 이동훈)은 지난 13일(이하 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에서 남미 최대 제약사 중 하나인 유로파마(Eurofarma)와 미국 내 조인트 벤처(Joint Venture, 이하 JV)를 설립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JV 설립은 SK바이오팜이 북미 시장에서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개시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글로벌 디지털 헬스 시장은 연평균 25% 성장이 예측되며, 특히 AI를 활용한 진단, 예방, 관리 영역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유연한 조직으로 급격한 변화에 대응"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유연한 조직으로 급격한 변화에 대응"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2025년 을사년을 맞아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조직을 바탕으로 압축적이고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겠다"고 신년사를 통해 2일 밝혔다. 이 사장은 "해외로 나가 우리의 성과와 위상을 더욱 명확히 느낄 수 있었다"며 "작년 Bio USA와 미국뇌전증학회(AES) 같은 글로벌 무대에 참석했을 때, SK바이오팜의 존재감을 더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경험은 우리의 성취와 비전을 다시금 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

SK바이오팜, AI 기반 플랫폼 사업 연이어 확대·고도화

SK바이오팜, AI 기반 플랫폼 사업 연이어 확대·고도화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SK바이오팜이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을 통해 종합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과 신약 연구개발 플랫폼은 비전 달성을 도울 핵심 축으로 꼽힌다. 최근 SK바이오팜은 남미 제약사 유로파마(Eurofarma)와 합작 법인(Joint Venture, 이하 JV)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JV 설립은 북미 시장 내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사업 본격화를 알리는 전략적 행보다. 이런 움직임은 수년 전부터 이어진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연장선에 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