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사, mRNA 백신 후보 'GBP560' 글로벌 임상 1/2상 개시

호주 및 뉴질랜드서 글로벌 1/2상 착수.. 내년 중간 결과 확보 목표
CEPI 최대 1.4억 달러 R&D 비용 지원 넥스트 팬데믹 대응 프로젝트
mRNA 플랫폼 확보로 백신 포트폴리오 확장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2-25 09:14

SK바이오사이언스의 mRNA 백신이 본격적인 임상에 돌입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mRNA 기술을 활용해 개발중인 일본뇌염 백신 후보물질 'GBP560'의 글로벌 임상 1/2상을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일본뇌염과 라싸열 바이러스의 백신 개발은 mRNA백신 플랫폼을 구축키 위해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제기구와 함께 수행하는 넥스트 팬데믹 대비 '100일 미션'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100일 미션'은 미지의 감염병(Disease-X) 발병 후 수 주 안에 백신을 개발해 대규모 생산함으로써 100일 안에 팬데믹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 국제기구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와 4000만달러의 초기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기로 협약을 맺고 해당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후기 개발 단계에 돌입하면 CEPI는 최대 1억 달러를 추가로 SK바이오사이언스에 지원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비영리기구 국제팬데믹대비사무국(IPPS)이 최근 발표한 '100일 미션: 2024 이행보고서'에서 CEPI의 백신 R&D 주요 파트너로 소개되는 등 넥스트 팬데믹 글로벌 대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중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팬데믹 대응에서 나아가 다양한 질병에 대응이 가능한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신규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 백신에 적용돼 처음 상용화된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은 유전자 염기서열을 활용해 기존 플랫폼 대비 신속한 대량생산 체제 구축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 때문에 팬데믹 대응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며 치료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커 빠른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실제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노바원어드바이저(Nova One Advisor)에 따르면 글로벌 mRNA 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17.06% 성장해 2033년엔 589억달러(약 84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하는 최초의 mRNA 백신인 GBP560 임상 1/2상은 호주 및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402명을 대상으로 접종 후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단계는 저용량, 중간용량, 고용량 또는 대조약을 대상자에게 28일 간격으로 2회 투약 후 대상자의 내약성 및 면역원성을 확인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결과를 바탕으로 용법 및 용량을 설정해 대조군과 면역원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내년 임상1/2상의 중간 결과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GBP560은 앞서 진행된 비임상 시험에서 반복투여독성시험, 안전성약리시험, 동물효능시험, 면역후공격시험 등을 통해 후보물질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확인한 바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CEPI는 개발중인 백신에 대한 전 세계의 공평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현재 계약 조건에 의거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CEPI의 정책에 따라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 대한 공급 우선순위, 공중 보건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백신 물량 생산, 저렴한 가격 등 공평한 접근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왔다.

CEPI 리처드 해치트(Richard Hatchett) CEO는 "다음 미지의 감염병이 언제 어디서 닥칠지는 모르지만 그것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다"며 "mRNA의 성공을 기반으로 백신 개발 기술을 미리 준비하면 언젠가 또다른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백신을 처음부터 새로 만드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미래의 감염병 유행을 신속하고 공평하게 극복하기 위한 길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mRNA 플랫폼으로 기술 확장이 이뤄지면 미지의 질병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함께 백신에 대한 공평한 접근성과 충분한 공급량도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성공적으로 임상을 수행해 글로벌 공중보건에 기여하고 백신 R&D 선도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져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SK바사, "국내 첫 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 접종 시작"

SK바사, "국내 첫 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 접종 시작"

생후 12개월 미만 모든 신생아 및 영아에서 가능한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예방 항체주사 접종이 국내에서도 시작됐다. 2세 이하 영유아의 90%가 감염되는 전염력 높은 RSV에 대한 예방 혜택을 전국 병의원에서 받을 수 있게 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Sanofi)의 한국 법인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의 국내 공급을 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베이포투스'는 생후 12개월 미만 모든 신생아 및 영아에서 활용 가능한 유일한 RSV 예방 항체주사로 최소 5개월 이상

SK바이오사이언스, WHO와 협력해 감염병 위기 대응

SK바이오사이언스, WHO와 협력해 감염병 위기 대응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제기구와 협력해 SARS(SARS-CoV-1)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ISM) 확립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선도적 R&D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감염병 위기에 대응코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한 'SARS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 확립을 위한 공동 연구'에 유일한 민간 기업으로 참여,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WHO는 앞서 지난해 10월 SARS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을 공표했으며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 과정에서 면역원성 분석 연구를 진행하는 등

SK바사, 실적 하락 지속…올해부터 투자 기반 성장 전환 주목

SK바사, 실적 하락 지속…올해부터 투자 기반 성장 전환 주목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지난해 4분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백신 수요 감소와 미래 성장동력 투자 등으로 인해 영업 손실을 이어갔다. 회사는 지난해 인수한 IDT바이오로지카의 매출을 토대로 백신 제품 '스카이백스'의 성장, 사노피와 협업 등을 통해 올해 매출 6000억원을 넘어서겠다는 목표다. 5일 회사 및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2675억원, 영업손실 138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27.6%, 1054.7% 감소한 수치다. 당기순손실은

SK바사, IDT 인수 효과 본격화…매출 전년동기比 70%↑

SK바사, IDT 인수 효과 본격화…매출 전년동기比 70%↑

SK바이오사이언스가 독일 기업 IDT 바이오로지카 인수 후 첫 연결 재무 실적을 발표했다.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R&D 투자 등으로 영업적자는 지속됐지만, 전년 동기 대비 70% 이상 상승한 분기 매출로 외형이 크게 성장했고 실적 개선의 가능성도 보여줬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5일 연결재무제표기준 2024년 4분기 매출 1568억원, 영업적자 508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액 2675억원, 영업적자 1384억원이었다. 지난해 10월 인수 절차를 마무리한 IDT바이오로지카(이하 IDT

SK바이오사이언스-사노피, 국내 백신시장 동반 공략 확대

SK바이오사이언스-사노피, 국내 백신시장 동반 공략 확대

SK바이오사이언스와 글로벌 기업 사노피가 국내외에서의 파트너십을 확장하며 백신 등 예방 의약품 시장 동반 공략에 나서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Sanofi)의 한국 법인(이하 사노피)과 영유아 대상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와 A형 간염 백신 '아박심®'의 국내 공동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내년 말까지이며, 양사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체결한 소아 DTaP 혼합백신 등 5종 백신에 대한 유통 계약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