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개 상장제약사, 지난해 매출 19.8조 달성‥ 6.5% 성장

4년 연속 한자릿수 저성장…영업이익 4.8%, 당기순이익 6.9% 증가
셀트리온·종근당, `매출 1조 시대` 첫 진입‥1조 클럽 7개사로 늘어

최봉선 기자 (cbs@medipana.com)2020-03-16 06:11

 640 shutterstock_684898867.jpg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 영업실적

 

국내 상장제약기업들은 4년 연속 한자릿수 성장 속에 수익성은 전기에 비해 소폭 증가하는 등 힘겨운 실적으로 이어졌다.
 

메디파나뉴스가 72개 상장제약기업(일부 바이오기업 포함)들의 연결기준 2019년도 실적(일부 잠정실적)을 종합한 결과, 매출은 평균 6.5% 성장한 19조 8,140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1조 4,503억원을 올려 전기에 비교해 4.8% 늘어났고, 당기순이익도 6.9% 늘어난 1조 417억원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도에 영업이익 16.5%, 당기순이익 21.5%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그나마 양호한 실적이다.

 

기업별 매출을 보면 유한양행이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유한은 지난해 2.5% 역성장한 1조 4,803억원의 매출로 감소했으나 2위 기업과 1,100억 격차로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이어 GC녹십자가 2.6% 성장한 1조 3,697억(잠정 실적), 광동제약이 4.9% 늘어난 1조 2,382억을 올렸다.

 

국내 대표적 바이오기업 셀트리온이 전기에 9,820억 매출에서 지난해 14.9% 성장한 1조 1,284억원(잠정 실적)의 매출로 첫 1조 매출 시대를 열었다. 이어 한미약품이 9.6% 성장한 1조 1,136억원을 올려 5위에 랭크됐다.

 

대웅제약이 7.9% 성장한 1조 1,134억원으로 한미약품 2억원 가량의 격차로 6위에, 2018년에 9,557억원의 매출을 올린 종근당이 지난해 12.9% 성장하면서 1조 793억 매출로 첫 1조 매출시대에 진입하게 됐다. 이에 따라 제약업계 1조 매출클럽 기업은 7개사로 늘어나가 됐다.

 

2017년 지주사 전환으로 새로운 사업회사로 출범한 제일약품이 7.1% 성장한 6,714억원(잠정 실적)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동아에스티가 7.9% 성장한 6,123억 매출(잠정 실적)을 올리는 등 6천억 매출시대로 들어섰고, 보령제약이 전기에 4,604억에서 지난해 13.9% 성장한 5,242억 매출로 `빅10`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656-1 상장사 실적.jpg

656-2 상장사 실적.jpg

 

이어 JW중외제약, 일동제약, 동국제약, 한독, 휴온스, 일양약품, 대원제약, 동화약품, 삼진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영진약품, 경보제약, 신풍제약, 삼천당제약, 경동제약, 셀트리온제약, JW생명과학, 대한약품, 부광약품, 하나제약 순으로 30위권 기업이 정해졌다.

 

특히 지난해 동국제약을 비롯해 휴온스, 대원제약, 영진약품, 삼천당제약, 셀트리온제약 등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영업이익 부문은 바이오기업 셀트리온 3,780억원 규모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미약품 1,038억, 종근당 745억, 동국제약 685억, 동아에스티 565억, 휴온스 483억, 대웅제약 446억, 삼진제약 441억, 광동제약 418억, GC녹십자 402억, 보령제약 390억, 대원제약 351억, 유나이티드제약 344억, 대한약품 336억, 하나제약 335억, 일양약품 325억, JW생명과학 297억, 한독 274억, 환인제약 261억, 삼천당제약 252억 순이다. 

 

집계 대상 72개사 중 영업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35개사, 줄어든 기업이 20개사로 나타난 가운데 영진약품, 삼일제약, 테라젠이텍스, CTC바이오, 서울제약, 메디포럼제약(전 씨트리) 등 6개사는 전기에 영업손실에서 지난해 이익을 실현하며 흑자로 돌아섰다.

 

반면 진양제약, 조아제약, 일성신약, 일동제약, JW중외제약, 명문제약 등 7개사는 영업손실을 내면서 적자로 전환됐다. 그외 에이프로젠제약, 삼성제약, 동성제약, 코오롱생명과학, 에스티팜 등은 전기에 이어 지난해에도 영업손실이 지속됐다.

 

업계 관계자들은 "기업에 따라서는 글로벌 진출 등을 위해 신약개발에 적지 않은 연구개발비가 투입되면서 영업이익이 줄어 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상장제약기업들의 최근 9년간 매출 추이를 보면, 2009년 41개 상장사 평균 14.7%, 비상장사와 다국적제약사를 포함한 135개사가 평균 13.1% 성장했던 것을 정점으로, 2010년(51개 상장사 기준) 8.7%, 2011년(53개 상장사) 0.2%, 비상장사와 다국적사 포함 158개사 3.2% 성장하는데 그쳤다.
 
2012년에도 역시 51개 상장사 기준 1.2%, 비상장사와 외자사를 포함한 159개사가 0.9%로 최저점을 보인 이후 2013년(52개 상장사) 6.4%, 비상장-외자 포함(163개사) 5%, 2014년에는 55개 상장사 7.4%, 비상장사와 다국적사를 포함한 182개사가 5.4% 성장했다.

 

또한 2015년에는 71개 상장사가 매출 13.4% 성장에 영업이익은 34.4%, 순이익은 77.6% 급증하는 호황(?)을 보였고, 2016년도 실적(71개 상장사)에서는 매출 6.9% 성장에 영업이익은 7.5%, 순이익이 11.7% 급감했다. 2017년 69개 상장제약사는 매출 9.3% 성장, 영업이익 25.4%, 순이익 27.1% 증가했다. 2018년 72개 상장사 기준 매출 7% 성장, 영업이익 -16.5%, 당기순이익 -21.5% 감소했다.

관련기사보기

DHP코리아·파마리서치·하나제약 '20%대 영업이익률' 달성

DHP코리아·파마리서치·하나제약 '20%대 영업이익률' 달성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DHP코리아와 하나제약이 높은 수익률을 자랑했다. 여기에 파마리서치프로덕트도 2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해 고수익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메디파나뉴스가 74개 상장제약사의 2019년도 연결기준 실적을 통해 분석한 '영업이익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 전체 매출은 19조4955억 원이었으며, 여기에 영업이익은 1조1302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5.8%를 기록했다. 2018년과 비교해보면 매출액은 6.7%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3.

상장제약기업 판관비율 감소세 멈췄다…평균 0.6%p 늘어

상장제약기업 판관비율 감소세 멈췄다…평균 0.6%p 늘어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3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던 상장 제약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율이 지난해에는 증가 추세로 돌아섰다. 메디파나뉴스가 75게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2019년도 판매관리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올린 총 매출 20조6240억 원 중 판관비로 6조716억 원을 지출해 판관비율은 평균 29.4%로 집계됐다. 2018년도 판관비율 28.8%보다 0.6%p 늘어난 수치다. 최근 상장제약기업들의 판매관리비율 추세를 보면

제약사 R&D 투자 또 늘어…한미약품 '부동의 1위'

제약사 R&D 투자 또 늘어…한미약품 '부동의 1위'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연구개발(R&D) 투자비율 국내 제약기업들이 연구개발비에 투자하는 규모가 지난해에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 진출은 물론 국내 시장에서도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신약은 물론 개량신약 개발까지 이어지면서 R&D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메디파나뉴스가 72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통해 '2019년도 연구개발(R&D) 투자 현황'을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연구개발비로 총 1조543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1

83개 제약사, 2019년 직원 평균연봉 6168만 원

83개 제약사, 2019년 직원 평균연봉 6168만 원

[상장제약기업 2019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직원 연봉 상장제약기업 직원들은 지난해 평균 6168만 원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메디파나뉴스가 83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지주사 포함)의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2019년도 직원 연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직원은 4만8344명(임원 제외)이었으며, 이 중 남성이 3만3580명, 여성이 1만4764명의 구성을 보여 약 7대 3의 비율을 보였다. 근속년수는 평균 7.2년에 남성이 7.6년, 여성이 6.1년으로 1.5년의 근속차를 보였으며, 평균 연봉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