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로봇보조수술이 빠르게 개복 수술을 대체하고 있고 있지만, 급여화 논의는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암종에서는 로봇 수술이 수술 결과 면에서 기존 수술보다 더 낫다는 평가임에도, 급여화 여부는 여전히 검토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의료계와 업계에선 로봇 수술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됐다면 일부 급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전액 비급여에서 일부 급여로 전환된다면, 국민 의료비용 지출에 있어서도 일부 재정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로봇 수술, 개복술 대비 합병증·사망률 낮아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외과 수술 표준이 개복 수술에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방식의 복강경 로봇 수술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전립선암 수술에서 복강경 로봇 수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골반강 내 깊숙이 위치하고 있는 전립선 전체와 정낭, 정관 등을 제거하기 위해선 기존 개복 수술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작은 구멍을 내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공간을 넓혀주는 복강경과 보다 자유로운 손기술을 구현해주는 로봇팔이 전립선에 있는 암을 전부 도려내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이란 설명이다.
실제 2023년 국민건강심사평가원 전립선암 통계에 따르면, 비급여 로봇보조 전립선 적출술은 전체 수술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급여 수술(개복술) 환자 수는 매년 감소하는 반면, 비급여 로봇 전립선 적출 환자 수는 매년 증가해 2021년엔 전체 수술의 86.5%를 차지했다.
로봇 수술이 기존 수술보다 합병증이나 재입원율, 사망률 등에서 더욱 임상적 이점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임상적 유용성은 최근 발표된 연구논문에서도 잘 나타난다. 보스턴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로코 리차르디(Rocco Ricciardi) 연구팀은 지난달 종양 수술에서 다빈치 로봇수술과 개복 수술 결과를 비교한 연구 결과를 수술 의학저널인 'Annals of Surgery'에 게재했다.
이 연구는 22개국에서 수집한 참고문헌 5만6314건과 연구 230건(무작위 연구 34건, 전향적 연구 74건, 데이터베이스 연구 122건)을 분석한 메타분석 연구결과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빈치 로봇 수술(dV-RAS)은 복강경/흉강경 수술(lap/VATS)이나 개복 수술(open surgery) 과의 30일 비교에서 수술 시간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입원 기간은 로봇 수술이 복강경/흉강경 수술에 비해 0.51일, 개복 수술보다 1.85일 짧았으며, 출혈량도 로봇 수술이 개복 수술에 비해 293.44ml 적었다.
수술 후 합병증에 있어서도 로봇 수술은 복강경/흉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보다 각각 10%, 44% 낮았다. 사망률에선 로봇 수술이 복강경/흉강경 수술 대비 14%, 개복 수술에 비해선 46% 적었다.
연구팀은 "다빈치 로봇 수술이 복잡한 수술에서 특히 유리하며, 기존 복강경 수술이나 개복술에 비해 여러 면에서 장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 국내서도 급여화 논의 있었지만…장벽 상당
로봇 수술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이 주목 받으면서 일본에 이어 최근 대만도 46개 로봇수술에 대한 추가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결정했다.
대만 정부는 로봇 수술은 수술 시간이 짧고, 작은 절개 부위에 따른 입원 기간도 단축돼 건강보험 재정 측면에서 도리어 절감될 거라 기대했다. 이에 따라 매년 8400명 이상이 의료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대만은 2023년 3월부터 17가지 수술 유형에 대해 로봇 수술 급여화를 단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급여화 논의가 없었던 건 아니다. 2021년 정부와 의료계(대한의사협회, 대한비뇨의학회, 외과학회 등)는 로봇 수술 급여화를 놓고 관련 협의체를 구성했지만, 별 다른 진척을 보이진 못했다.
다만 일부 적응증의 경우 이미 충분한 근거가 쌓였다는 점에 대해서만 서로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한 상급종합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의료계도 복지부도) 로봇 수술 급여화에 대한 의지는 있지만, 현재 종별이나 과별로도 약간 이해관계가 첨예하다"면서 "2차 병원의 경우 (로봇 수술이) 주된 수익인데다 기존 복강경 수술에 대한 수가 문제도 얽혀있어 논의 진척이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도 "10년 전과 비교해 로봇 수술이 글로벌 표준 치료로 자리 잡을 정도로 위상이 올라갔다"면서 "국내서도 급여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최근엔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로봇 수술 급여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첨단 로봇보조수술의 건강보험 급여화 필요성에 대해 복지부에 질의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몇몇 질환에 유효성이 있는 기술로 심의된 경우라도 기존 복강경 수술에 비해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효과성에 대한 추가적 근거 축적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향후 안전성·유효성, 비용효과성 등에 대한 추가적 근거가 마련된다면 급여화 여부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