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의료 상담, 임종기 암환자 항생제 투여율 낮춘다

서울대병원-이대서울병원 연구팀, 사망한 암환자 1,143명 조사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2-12-14 14:22

서울대병원은 유신혜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와 이대서울병원 김정한 교수팀이 완화의료 상담을 통해 암 환자의 임종기 항생제 투여 확률을 약 54%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진행기 암 환자는 암 자체 혹은 암 치료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감염증 발생 위험이 높으며, 실제로 감염증이 발생해 경험적 항생제 처방을 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임종기 암 환자에게는 이러한 항생제 사용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근거는 뚜렷하지 않다.

이에 연구팀은 상당수의 진행기 암 환자들이 임종기에 항생제를 투여받는 점에 착안해 완화의료 상담이 임종기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지에 주목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중 사망 암 환자 1,143명을 대상으로 완화의료 상담이 임종 3일 이내 항생제 사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조사했다.
  
사전에 완화의료 상담을 받은 468명(40.9%)과 받지 않은 675명(59.1%)의 성향점수 가중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특성을 비슷한 수준으로 보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완화의료 상담과 임종 3일 이내 항생제 투여 여부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완화의료 상담은 중증 질환을 가진 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투병하는 과정에서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등 다학제 팀에 의해 이뤄진다. 

분석 결과, 먼저 1143명의 사망 암 환자 중 임종 3일 이내 항생제를 투여받은 비율은 약 82.2%(940명)였다.

완화의료 상담군에서 임종 3일 이내 항생제 투여 비율은 73.5%로, 비상담군 88.3%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뿐만 아니라 임종 당일까지 항생제를 투여한 비율도 상담군에서 50.4%, 비상담군에서 67.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항생제 종류 별 분석 결과에서 그람 음성(gram-negative)균에 대한 광범위 항생제인 '카바페넴'의 사용은 ▲완화의료 상담군 22.4% ▲비상담군 42.4%, 그람 양성(gram-positive)균에 대한 광범위 항생제인 '글리코펩타이드'의 사용은 ▲완화의료 상담군 11.1% ▲비상담군 23.3%로, 항생제 사용이 절반 가량 줄어들었다.

이러한 차이는 나이·성별·발열 여부·배양검사 결과 등 다른 요인을 감안해 분석했을 때에도 비상담군에 비해 완화의료 상담군에서 임종 3일 이내 항생제 투여 확률이 54% 더 낮게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완화의료 상담이 임종 시기의 암 환자에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완화의료 상담을 통해 심폐소생술 혹은 인공호흡기 등의 연명의료 시행 감소에 대한 기존 연구는 있으나, 임종기 항생제 사용 감소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최초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신혜 교수는 "진행기 암 환자에서 항생제 사용은 의학적 적응증만 갖고 결정할 수 없고, 환자 가족의 치료 목표·가치·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의료진과 함께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며 "항생제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이는 데 완화의료 상담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정한 이대서울병원 교수는 "임종기 환자에게 항생제 투여 시 환자를 괴롭게 하는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항생제 투여만으로 감염증 혹은 감염과 유사한 상황을 극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심폐소생술이나 인공호흡기 등의 의료 행위와 마찬가지로 항생제 사용이 환자에게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를 잘 고려해 투여를 결정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항균제 분야 국제 학술지 '항균화학요법 저널(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최근호에 게재됐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