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응급의료 현장이 전공의 없는 현실이 갖는 한계를 토로하고 있다. 비용 지원을 주로 하는 정부 비상진료 대응은 전공의가 없는 현장을 잠시 메울 순 있어도 근본적 해법은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은 30일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정부 비상진료체계가 갖는 한계를 지적했다.
정부는 겨울철 비상진료 대응을 위해 의료인력 부족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사와 진료보조인력 신규 채용 인건비를 지원하고, 배후진료 제공 기여도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한 의료인·의료기관 네트워크 운영 강화 등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수도권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A 전문의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비상진료 대응 방향을 직접적으로 체감하진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 전문의는 "전공의 부재로 병원 역량은 줄었는데 최근 독감이 유행하면서 응급실은 난리"라며 "오늘도 환자가 평소보다 2배 정도 왔다. (정부 대책이)현장 의료진에게 피부로 와닿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특히 배후진료 한계가 여전하다는 점을 토로했다.
응급의학과는 최종치료가 아닌 응급환자 대응과 치료를 하는 과다. 근본적 치료를 위해선 환자 증상에 따른 배후진료과에서 최종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배후진료과 한계로 환자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지적이다.
A 전문의는 "전원 의뢰가 와도 배후진료과 백업이 되지 않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야간·주말에 발생하는 응급환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환자 100명을 보던 병원 역량을 30명으로 줄이고 적응해 나가는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이야 훈련된 전문의가 버티고 있지만 전공의가 없는데 5년, 10년 뒤엔 누가 대체하겠나"라며 "의대부터 전공의까지 10년이 넘는 전문의 양성 과정이 중단된 상황이다. 한계가 분명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수도권 2차병원 응급의학과 B 전문의 역시 배후진료 측면에서 한계를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응급실의 경우 정부 지원으로 인력을 충원하며 어떻게든 버티고 있지만, 배후진료를 위한 전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 대학병원 역량은 체감상 기존 대비 3분의 1 정도로 줄어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전공의가 없는 현장을 돈으로 메우고 있지만, 근본적 문제 해결 없인 한계가 명확하다는 지적이다.
B 전문의는 "최근 응급실에 보호자로 갈 일이 있었는데 응급의료관리료가 23만원이었다. 중증환자라 본인부담은 4만원이었지만, 나머진 재정으로 메우는 셈"이라며 "응급실에 돈을 퍼줘서 겨우 돌아가게는 하고 있지만, 건강보험 재정 적자는 앞당겨질 거다. 한계가 분명한 체계"라고 토로했다.
다만 사태 정상화 가능성은 불투명한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그는 "최근 간 의국 행사에 시간이 지나도 돌아오겠다는 사직 전공의들이 오긴 했는데, 6명 중에 2명이었다"면서 "대부분은 이미 피부미용하며 살겠다고 나갔다. 개인적으로 전공의 복귀는 없는 선택지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 2차병원 응급의학과 C 전문의 역시 배후진료과 번아웃으로 인한 의료체계 한계를 토로했다.
특히 수술과 의료진의 경우 외래에 수술까지 하면 입원환자를 볼 시간은 없지만, 이를 커버하던 전공의 부재로 입원환자까지 보며 번아웃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후진료과 의료진이 버티다 사직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고, 이로 인해 배후진료를 위한 전원을 받아줄 병원이 없는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C 전문의는 "사직하는 분들 보면 정말 이러다 죽을 것 같아서 하는 거다. 정부는 돈으로 해결하려는 것 같지만, 돈이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런 현상은 돈으로 막을 수 없다. 전문의를 돈으로 만들어낼 순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