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기업들 현금성 자산 줄었다…업체별 변화 눈길

84곳 현금성 자산 7조8844억, 전년比 1.84%↓
현금성 자산 늘거나 감소한 업체, 42곳으로 같아
셀트리온, 현금성 자산 증가 폭 가장 큰 업체
삼성바이오로직스 현금성 자산, 45% 넘게 줄어
보령 현금성 자산, 9.5배 이상↑…유상증자 영향
현대바이오, 기업 지분 인수로 현금성 자산 감소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3-27 11:59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⑨현금성 자산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지난해 현금성 자산 합계가 전년 대비 소폭 줄었다. 현금성 자산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기업 비율은 50%로 같았으며, 셀트리온은 지난해 현금성 자산 증가 폭이 가장 큰 기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령은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지난해 현금성 자산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같은 기간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다른 기업 지분을 인수하는 데 보유 자금을 활용해, 현금성 자산 감소율이 가장 컸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지난해 현금성 자산은 7조8844억원이다. 이는 전년 7조9915억원 대비 1.84%(1844억원) 감소한 규모다.

메디파나뉴스가 집계한 지난해 현금성 자산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비롯해 '단기 금융상품', '단기 투자자산', '유동성 매도 가능 증권', '만기 보유 금융자산' 등 여러 유동자산을 포함한다.
증가·감소로 구분 시, 84곳 중 50%(42곳) 지난해 현금성 자산은 전년 대비 늘었다. 반면, 나머지 절반은 지난해 현금성 자산 감소를 나타냈다.

증감 폭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셀트리온은 현금성 자산 증가 폭이 가장 큰 기업이다. 셀트리온 현금성 자산은 2023년 7584억원에서 지난해 1조1431억원으로 50.72%(3847억원) 늘었다.

항목별 증감은 달랐다. 지난해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9964억원으로 전년 5646억원 대비 76.48%(4318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단기 금융자산은 2023년 1467억원에서 지난해 1938억원으로 24.34%(472억원) 감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금성 자산 감소 폭이 가장 큰 기업으로 꼽혔다.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현금성 자산은 1조2986억원으로, 전년 2조179억원 대비 35.65%(7194억원) 감소했다.

현금성 자산 감소는 단기 금융상품이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사업보고서에서 지난해 단기 금융상품이 9074억원이라며, 전년 1조6500억원과 비교해 45%(7427억원) 감소했다고 기재했다. 
증감율로 나누면, '보령'은 현금성 자산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이 회사 현금성 자산은 1918억원으로 전년 201억원 대비 9.5배 이상 늘었다.

이 회사 현금성 자산이 대폭 증가한 시점은 지난해 4분기다. 보령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3분기 말 279억원에서 1개 분기 만에 1640억원가량 증가했다.

현금성 자산 증가는 보령이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한 결과다. 지난해 이 회사는 보령파트너스(오너 3세 김정균 대표가 지분 88%를 보유)를 상대로 1809만720주(1주당 발행가액 9670원)를 발행하고, 약 1750억원을 조달했다.

당시 보령은 장기적 성장을 위한 투자 재원을 마련한다며, ▲제약사업 강화를 위한 공장 및 설비 증설 ▲전략적 필수 의약품 확보, 공급, 유통 사업 확장 ▲장기적인 국가 및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사업 투자에 사용하겠다고 설명했다.

현금성 자산 감소율이 가장 큰 업체는 '현대바이오사이언스(이하 현대바이오)'다. 지난해 현대바이오 현금성 자산은 37억원으로, 전년 118억원 대비 169.04%(82억원) 줄었다.

현대바이오 현금성 자산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임상시험수탁(CRO) 및 항암제 개발 전문기업 '현대에이디엠바이오(전(前) 에이디엠코리아)' 지분 인수다. 

지난해 현대바이오는 269억원을 들여 현대에이디엠바이오 지분 30.33%와 경영권을 넘겨받았다. 당시 현대바이오는 보유 자금 및 신규 조달 자금(전환사채권 발행)을 지분 인수에 투입했다.

오상기 현대바이오 대표이사는 이와 관련해 세계 범용 항바이러스제 시장 선점을 위해 현대에이디엠바이오를 인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보기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총 자산 84조…부채 비율 0.93% ↑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총 자산 84조…부채 비율 0.93% ↑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⑧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상장사들의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이 전년 대비 소폭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 규모 기업군에서 부채비율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25일 메디파나뉴스가 주요 제약·바이오 상장사 91개사의 2023~2024년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부채비율은 2023년 31.43%에서 2024년 32.36%로 0.93%p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자본 총계가 평균 6.76% 증가

제약·바이오 '영업활동 현금흐름' 확대…4곳 中 3곳 현금 모아

제약·바이오 '영업활동 현금흐름' 확대…4곳 中 3곳 현금 모아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영업활동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지난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전년과 비교해 12%가량 늘었다. 84개 업체 중 63곳은 영업활동 현금흐름 유입이 나타났으며, 영업활동 현금흐름 유입이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이어진 업체는 49곳이었다. 아울러 SK바이오팜 등 14개 업체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2023년 유출에서 지난해 유입으로 변하며,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84곳 영업활동 현금흐름 확대에 기여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매출원가율 56.5%…47곳 전년比↑

상장 제약바이오 91개사, 매출원가율 56.5%…47곳 전년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매출원가율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다만, 매출원가율이 증가한 업체 수가 감소한 곳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되며, 업계에 매출원가 부담이 지난해보다 커진 모습이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지난해 사업보고서 연결·개별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 매출원가는 21조2391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총 매출액은 37조5710억원으로

제약·바이오, 수익성 소폭↓…89개 업체 中 39곳 영업이익률↑

제약·바이오, 수익성 소폭↓…89개 업체 中 39곳 영업이익률↑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 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89개 업체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1%가량 줄었다. 매출액이 영업이익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증가한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감소한 기업 보다 적었고, 89개 기업 중 절반이 넘는 업체는 영업이익률 0% 이상 10% 미만 구간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메디파나뉴스가 집계한 상장 제약·바이오 89개 업체 지난해

93개 상장 제약·바이오, 지난해 매출 37조6281억원…11% ↑

93개 상장 제약·바이오, 지난해 매출 37조6281억원…11% ↑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4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 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매출이 지난해 두자릿 수 외형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매출 기준 상위기업과 하위기업이 빈익빈 부익부의 모습을 보였으며, 하위기업의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된 모습이다. 17일 메디파나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93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 실적을 집계한 결과, 이들의 매출 총합은 37조628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39% 성장한 것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