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전체 바꿔야 하는 당뇨병‥"교육상담도 급여화"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모두 관리하는 당뇨 환자 '16.8%'
"교육상담 통한 '개인 맞춤형 치료법' 제시해야"

조운 기자 (good****@medi****.com)2016-11-15 06:01

 
[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알려진 당뇨병이 의사에 의한 교육상담 부족으로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당뇨병은 타 만성질환에 비해 식사 및 운동 등 생활습관 개선이 질병 완화에 큰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3분 진료가 만연한 진료실에서 20~30분은 족히 필요한 교육상담 행위는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의료계의 설명이다.

지난 14일 대한당뇨병학회와 한국소아당뇨인협회, 한국당뇨협회 공동 주체로 '2016 세계 당뇨의 날 기념식 및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집중관리가 필요한 당뇨병환자에 대한 교육상담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김대중 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는 "완치의 개념이 없는 만성질환인 당뇨병의 경우, 경구약제 및 인슐린 등 약물요법도 중요하지만, 식사 및 운동요법 등 평생의 생활습관 및 라이프 스타일 개선을 통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이사의 자료에 따르면 금연과 절주, 비만관리가 필수적인 당뇨병 유병자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을 하는 남성의 비율 40.8%로 나타났고,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는 남성 23.4%로 나타났다. 또한 걷기실천을 하지 않는 비율도 남성 62.9%, 여성 64.5로 높게 나타났다.

실제로 국내 당뇨병 환자 중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을 모두 관리하는 환자는 16.8%에 불과한 상황.

이처럼 당뇨병에 대한 개인 관리와 자가 점검이 안 되다 보니 당뇨병으로 인한 연도별 진료비와 저혈당에 의한 응급실 방문율도 해마다 증가해 사회 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임영배 한국당뇨협회 총무이사
나아가 임영배 한국당뇨협회 총무이사<왼쪽 사진>는 "당뇨병의 경우 스스로 혈당량을 측정해 자가 관리가 가능한 병이지만 교육 상담의 부족으로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발, 심혈관계 질환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방치해 환자의 경제적 시간적 낭비가 막대한 상황이다"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혈당 관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당뇨병 관리 기술을 습득시켜 스스로 당뇨병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개인 맞춤형 당뇨병 치료법으로서 교육 상담이 체계적으로 제공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류옥현 한림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당뇨병 관리는 의료진이 환자 교육을 통해 혈당을 스스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교육상담은 '맞춤형 치료법'이라는 인식 개선과 함께 교육상담 급여화로 환자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많은 대기 환자를 가진 병원들에서 그에 대한 보상도 없어 실제 교육이 이뤄지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지난 제4기(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 중 교육 참여율은 19.8%로 나타났다.

또한 2015년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백 만명의 당뇨병 환자 중 68.7%가 의원급에서 진료를 받지만, 인슐린 주사를 처방받는 환자는 65.76%가 종합병원인 것으로 나타나 특히 개원의에서 교육상담을 실시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류 교수는 "의사들도 환자들도 교육 상담의 중요성을 깨닫고 현장에서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상담 급여화와 교육상담 지원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교육상담 급여화 주장 속에서 수가 마련에 앞서 의사와 환자의 의식 제고도 중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 윤석기 천안엔도내과 원장
윤석기 천안엔도내과 원장<오른쪽 사진>은 "의사가 심각한 당뇨환자가 와도 귀찮아서 또는 돈이 안돼서 적당히 처방만 하고 환자를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며 의사가 먼저 반성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나아가 "환자 역시 처음에 병원을 열심히 다니다가도 어느정도 혈당이 떨어지면 의사 말을 듣지 않고 인슐린 주사에 대한 오해로 이 마저도 거부하기도 한다"며 "이 저병 저 병원을 전전하며 민간요법 등에 시간을 낭비하기도 해 환자들도 바뀔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급여화 이전에 체계적인 당뇨병 교육 매뉴얼과 교재 그리고 교육 시스템의 표준화가 우선되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광훈 한국소아당뇨인협회 회장은 "대학병원, 개원가 등 다양한 병원에서 상이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뇨병 교육 수가를 적용하기 전에 대한당뇨병학회를 중심으로 교육 시스템의 표준화 및 교육료에 대한 적정 수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정통령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장
병원과 학회, 의사 나아가 환자들까지 당뇨병의 교육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수가 마련을 주장하는 속에 보건복지부를 대표해 참석한 정통령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국 보험급여과장<왼쪽 사진>도 화답했다.

정 과장은 "과거 치료 중심이던 국내 보건의료 정책이 최근 예방과 관리, 교육의 방향까지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라며 현재 비급여로 인정하고 있는 교육 수가에 대한 정부의 입장에 대해 밝혔다.

그는 "만성질환의 경우 의사와의 지속적 상담과 관리가 더 중요하다는 인식은 이미 정부에서도 인지하고 있다"며 "제2차 상대가치 개편을 통해 다양한 의료행위들에 대한 건강보험 개편을 논의 중이다"라고 긍정적 대답을 내 놓았다.

하지만 "수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교육 상담의 질 관리와 더불어 그 행위가 얼마나 국민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자를 위한 수가 마련이 될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