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리바로' 제품군 최대 주력 사업 자리매김

리바로·리바로젯·리바로브이 등 매출 증가
2021년 리바로젯 출시 이후 급등 영향
"2분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 전망

장봄이 기자 (bom2@medipana.com)2024-06-27 11:58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JW중외제약의 최대 매출 품목으로 고지혈증 치료제 '리바로' 패밀리가 자리매김하고 있다. 복합성분 개량 신약인 '리바로젯' 합세는 매출 성장에 원동력이 됐다.

26일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의 고지혈증 치료제 리바로 패밀리(리바로, 리바로젯, 리바로브이) 지난해 매출은 148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현재 JW중외제약 주요 제품 중 가장 큰 규모다.

리바로 패밀리 의약품의 매출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 789억원에서 2022년 1314억원을 기록한 후 지난해까지 증가가 이어졌다. 올해 1분기 매출도 3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상승 추이를 이어갔다. 

특히 리바로 패밀리 매출은 2022년 크게 증가했는데, 회사에선 리바로젯 성장에서 비롯됐다고 보고 있다. 리바로젯은 이상지질혈증을 치료하는 성분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결합한 2제 복합제다. 스타틴 제제 중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조합한 국내 첫 개량신약이기도 하다. 

리바로젯은 2021년 말 출시됐다. 출시 이듬해 매출은 318억원으로 집계돼, 매출 100억원(블록버스터 기준)을 훌쩍 넘었다. 회사에 따르면, 리바로젯은 2022년 318억원, 지난해 704억원 등 급격한 매출 상승세를 보였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매출 급등과 관련, "국내 첫 복합성분 개량신약으로 개발돼 빠르게 매출 상승을 이뤘다"면서 "스타틴 성분의 대표적 부작용 중에 하나인 당뇨병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입증받은 품목"이라고 설명했다.

리바로젯의 2분기 매출 역시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발행된 상상인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리바로젯의 2분기 매출은 403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수치로, 올해도 지난해보다 증가한 최대 매출을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또 다른 리바로 패밀리 제품인 '리바로브이'는 2015년 출시됐으며, 리바로와 고혈압 치료제 발사르탄을 합친 복합제다. 리바로브이 역시 당뇨병 안전성이나 복약 편의성 등을 경쟁력으로 앞세우고 있다. 
 

관련기사보기

JW중외제약 C&C신약연구소, '전립선암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JW중외제약 C&C신약연구소, '전립선암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JW중외제약(대표 신영섭)은 자회사인 C&C신약연구소(대표 박찬희)의 표준치료제에 대한 불응성·저항성 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연구가 '2024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사업'의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은 2021부터 10년간 국내 신약개발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

JW중외제약, STAT3 표적 항암제 1상 IND 승인

JW중외제약, STAT3 표적 항암제 1상 IND 승인

JW중외제약은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STAT3 억제제 'JW2286'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9일 밝혔다. JW2286은 STAT3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이다. 먹는 약(경구제)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삼중음성 유방암, 위암, 직결장암 등 고형암이 적응증이다. 이번 임상시험은 서울대학병원에서 70여 명의 건강한 한국인 및 코카시안 성인을 대상으로 JW2286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적 특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STAT3

[제약공시 책갈피] 6월 2주차 - JW중외제약·휴젤·경남제약 外

[제약공시 책갈피] 6월 2주차 - JW중외제약·휴젤·경남제약 外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2024년 6월 2주차(6.10~6.14)에는 JW중외제약이 일본 자궁근종 치료제 '린자골릭스' 국내 판권을 획득했다. 린자골릭스는 1일 1회 용법 경구제로 환자 복약순응도 개선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유럽에서는 2022년 6월에 판매 승인이 이뤄진 제품이다. 휴젤이 미국 ITC로부터 보툴리눔톡신 미국 수입에 법적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는 예비심결 결정을 받아냈다. 조사 개시가 결정된 지 2년여 만이다. 이로써 회사는 올해 10월 예정된 미국 ITC 최종심결까지 계속 대응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한

A형 혈우병약 '헴리브라', JW중외제약 새 성장동력 자리매김

A형 혈우병약 '헴리브라', JW중외제약 새 성장동력 자리매김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성분명 에미시주맙/유전자재조합)가 JW중외제약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JW중외제약 공시에서 1분기 주요 제품 매출액을 살펴보면, 헴리브라는 112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도 1분기 공시에는 주요 제품 목록에 품목명이 등록되지 않았었던 것으로 볼 때, 1년 만에 눈에 띄는 성장을 이뤄낸 것이다. 12일 JW중외제약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헴리브라의 전년도 분기별 매출은 16억원, 2분기 44억원, 3분기 85억원, 4분기 91억원을 기록했다"고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