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지속형 주사제 '보카브리아', 국내 HIV 시장 흔들까

보카브리아 약가협상 완료…4월 급여 등재 유력 
1년 6번 투여 주사제로 3제요법 대비 비열등성 확인  
HIV 감염인 절반 이상 부담 느끼는 경구제 대안 꼽혀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2-25 05:55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1년 최대 6번 투여만으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의 증식을 억제하는 주사제가 건강보험 급여에 신규 등재될 전망이다. 

1일 1회 약물을 꾸준히 복용해야 했던 국내 HIV 감염인들의 편의성은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GSK는 최근 자사 '보카브리아주(카보테그라비르)'와 한국얀센 '레캄비스주사(릴피비린)'에 대한 약가협상을 마무리했다. 

이에 보카브리아와 레캄비스는 이변이 없는 한 3월말 열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의결을 거쳐 오는 4월 1일부터 급여 등재될 예정이다. 

보카브리아는 레캄비스와 병용요법을 통해 세계 최초 장기지속형 HIV 주사제로 승인된 약물이다. 

국내서는 바이러스학적으로 억제돼 있고(HIV-1 RNA <50 copies/mL), 치료 실패 이력이 없으며 카보테그라비르 또는 릴피비린에 내성이 없는 성인 환자 HIV-1 감염 치료로 2022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됐다.

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의 가장 큰 장점은 투약 편의성이다. 2개월 동안 매달 1회씩 주사 후, 이후 유지요법으로 2달 간격으로 1회씩 투여하면 된다.   

매일 경구 약제를 복용하던 HIV 감염인으로선 긴 투약 주기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HIV 치료제에 대한 복약 순응도를 대폭 개선해 바이러스학적 실패나 치료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실제 HIV 치료에서 장기지속형 주사 치료제에 대한 국내 미충족 수요는 계속 있어왔다. 

국내 164명의 HIV 감염인을 대상으로 한 '2024 HIV 치료제에 대한 HIV 감염인의 인식 조사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 53%는 매일 정시 복용 혹은 복용 방법에 대해 '불편하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51%는 "HIV 치료제를 매일 복용할 때마다 HIV 감염 사실이 상기가 돼 우울감이나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고 말했다. 

"3개월 이내 HIV 치료제 복용을 빼먹은 적이 있다"고 말한 응답자도 절반 가까이(46%) 됐다. 

이로 인해 HIV 감염인 68%는 "기존 경구용 약제를 잘 복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 지속형 HIV 주사제로 변경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장기 지속형 HIV 주사제로 변경을 원하는 주된 이유로는 '매일 치료제 복용에 대한 부담 완화(57%)', '노출 최소화(51%)'를 꼽았다. 

그런 만큼 국내 HIV 치료 시장에 대한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HIV 치료제 시장 규모는 연간 약 1200억원이다. 

그중 길리어드사이언스 '빅타비'의 국내 점유율은 약 48%, GSK '도바토'의 국내 점유율은 약 32%로 알려졌다. 

즉 HIV 감염인 상당수가 장기지속형 주사로 변경을 고려한다면, 장기 지속형 HIV 주사제가 단숨에 경구 치료제들을 위협할 수도 있다. 

한편 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은 여러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바이러스 억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장기 지속형 HIV 주사제와 기존 3제 경구제(BIC/FTC/TAF)를 직접 비교(Head to Head)한 SOLAR 임상연구 결과, 바이러스 억제 및 유지에 있어 보카브리아+레캄비스 병용요법은 비교군 대비 비열등성을 확인했다.
 

관련기사보기

장기지속형 HIV 주사제 '보카브리아' 등 약평위 통과

장기지속형 HIV 주사제 '보카브리아' 등 약평위 통과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GSK 장기지속형 HIV 주사제 ‘보카브리아(카보테그라비르)'와 한국얀센 '레캄비스(릴피비린)’가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위한 8부 능선을 넘었다. 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4년 제12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심의 결과를 공개했다. 심의 결과에 따르면 HIV 주사제 보카브리아와 레캄비스는 급여 적정성이 있다고 판정받았다. 보카브리아와 레캄비스는 장기지속형 HIV 치료 주사제다. 최초 개시요법으로 2개월 동안 매달 1회씩 주사 후, 이후 유지요법으로 2달 간격으로 1회씩 투여하

한국GSK, 감염학회 학술대회서 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옵션 제시

한국GSK, 감염학회 학술대회서 HIV 장기지속형 주사제 옵션 제시

한국GSK(한국법인대표 마우리치오 보르가타)는 지난 8~9일 양일 간 열린 대한감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HIV 치료의 새로운 시대: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인한 HIV 감염인의 일상 변화'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진행, 큰 관심 속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의료진을 대상으로 GSK의 장기지속형 HIV 치료제를 처음 소개하는 이번 심포지엄에 충남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연숙 교수가 연자로 나서, HIV 치료의 역사와 현재 치료 환경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 장기지속형 HIV 치료 옵션을 통한 감염인 삶의 질 변화 등

HIV 치료제 '빅타비', 6세 이상 소아 ·청소년 감염인 적응증 확대

HIV 치료제 '빅타비', 6세 이상 소아 ·청소년 감염인 적응증 확대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대표 최재연)는 자사의 HIV-1 치료제 빅타비(빅테그라비르 50mg/엠트리시타빈 200mg/테노포비르알라페나미드 25mg, B/F/TAF)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HIV-1 감염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응증을 확대 승인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빅타비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경험이 없거나, 기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요법에 실패 없이 적어도 3개월 이상의 안정된 바이러스 수치 억제 효과를 보이며(HIV-1 RNA

HIV 치료 강자 '빅타비'에 정면승부 건 '도바토'

HIV 치료 강자 '빅타비'에 정면승부 건 '도바토'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 왕좌를 두고 두 약물 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결과가 공개된다. 주인공은 길리어드 HIV 치료제 '빅타비(빅테그라비르/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 푸마레이트, B/F/TAF)'와 GSK '도바토(돌루테그라비르/라미부딘, DTG/3TC)'. 이는 HIV 치료제 중 가장 높은 처방률을 보이고 있는 두 약물을 직접 비교(Head To Head)하는 가장 큰 규모의 연구가 될 전망이어서 주목된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