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상위 5대 제약사 포털 검색, ‘유한양행’ 관심도 1위

유한양행, 5곳 中 지난 1년 '관심도' 평균 가장 높아
지난해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 승인으로 관심↑
종근당, 구글 검색 빈도서 유한양행과 상위권 유지
티엠버스주100단위 허가, 대부업 진출 등 이슈 발생
GC녹십자, 지난 5년간 5곳 中 구글 검색량 가장 많아
CAR-NK 세포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 등 이슈 이어져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4-11 05:59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 종근당, GC녹십자가 포털 사이트 '구글' 검색량에서 한미약품과 대웅제약을 앞섰다. 각 업체는 의약품 허가, 연구개발(R&D), 기술 이전 등 이슈에 따라 관심 수준이 달라졌다.

10일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1년(지난해 4월 7일~올해 4월 10일) 간 구글 트렌드를 확인한 결과, 유한양행은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개 기업(연결 재무제표 기준) 중 '관심도' 평균이 가장 높았다.

관심도는 기업명 검색 빈도를 가리킨다. 지난 1년간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시점(지난해 8월 넷째 주) 관심도를 100으로 설정하면, 유한양행·종근당·GC녹십자('녹십자'로 검색)·한미약품·대웅제약 관심도 평균은 각각 44, 41, 34, 23, 21이다. 

유한양행 관심도는 지난 1년간 다른 기업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 가운데 4위를 기록한 시기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한 기간이 길었다.

특히 유한양행 관심도(100)가 가장 높았던 때는 지난해 8월 넷째 주다. 지난 1년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 관심도 흐름과 비교 시, 지난해 8월 넷째 주 유한양행 관심도는 다른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관심도를 압도했다.

당시 유한양행 검색 빈도가 높았던 건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국산 신약 31호 '렉라자(레이저티닙)'와 얀센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을 승인해서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2018년 얀센 바이오테크에 기술 이전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다.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 FDA 승인은 국산 항암제가 처음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당시  보건복지부는 신약 개발 분야 개방형 혁신 전략 성공사례로 평가하며, 렉라자가 글로벌 블록버스터에 등극할 것으로 기대했다.
구글 트렌드 관심도(평균) 순위에서 유한양행 뒤를 이은 업체는 종근당이다. 이 회사 관심도는 유한양행과 마찬가지로 지난 1년간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 가운데 상위권을 유지했다.

지난해 5월 넷째 주는 종근당 관심도가 가장 높았던 시기다. 당시 종근당 관심도는 97로, 다른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관심도(유한양행 30, GC녹십자 27, 한미약품 27, 대웅제약 18) 대비 높았다.

당시 종근당 관련 이슈는 보툴리눔 톡신 '티엠버스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독소 A형)' 허가 신청이다. 종근당 계열사 종근당바이오는 3상 핵심 자료(Topline Data)를 근거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CKDB-501A' 허가를 신청했다.

티엠버스주100단위는 종근당바이오가 허가를 신청한 지 약 10개월 만에 국내 품목허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달 31일 식약처는 만 19세 이상 만 65세 이하 성인 눈썹주름근, 눈살근 관련 미간 주름 개선을 적응증으로 티엠버스주100단위를 허가했다.

종근당 관심도는 최근에도 대폭 높아진 바 있다.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지난달 셋째 주 종근당 관심도는 70이었다. 이는 다른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관심도(GC녹십자 44, 유한양행 42, 대웅제약 29, 한미약품 20)와 비교해 높았다.

당시 지주회사 종근당홀딩스 대부업 진출은 종근당 관심도를 높인 이슈로 꼽힌다. 종근당홀딩스는 비상장 계열사 알티우스자산관리대부를 통해 금전대부·채권추심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제약업계 지주회사 최초로 대부업에 진출했다.
구글 트렌드 집계 기간을 지난 5년으로 넓히는 경우,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 관심도(평균) 순위는 달라진다. 지난 1년 관심도(평균) 순위에서 3위를 기록한 GC녹십자가 1위로 올라서고, 종근당·유한양행·한미약품·대웅제약이 순서대로 뒤를 잇는다.

GC녹십자 관심도(평균) 순위 상승은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관심도가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결과다. 일례로 2021년 1월 둘째 주 관심도(100)는 다른 기간 대비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검색 빈도를 높인 이슈는 코로나19 혈장분획치료제 '지코비딕주(항코비드19 사람면역글로불린)' 2상 종료 및 조건부 허가 신청이다. 당시 GC녹십자는 2상 환자 등록과 투약을 마치고 국내 허가를 신청했으나, 식약처 관문을 넘지 못했다.

2021년 1월 다섯째 주도 GC녹십자 관심도(90)가 높았던 때다. 당시 GC녹십자 전(前) 계열사 GC녹십자랩셀(現 지씨셀)이 기술 이전에 성공했다. 지씨셀은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이 2021년 11월 합병하면서 출범한 통합법인이다.

회사 자료에 따르면, GC녹십자랩셀은 미국에 설립한 NK 세포치료제 '아티바'를 통해 미국 제약사 엠에스디(MSD)와 18억6600만달러 규모로 고형암을 표적으로 하는 CAR-NK 세포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GC녹십자 관심도가 이같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건 2020년 하반기부터다. 이 회사는 2020년 7월 이후 본격적으로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5곳 관심도 순위에서 다른 업체보다 앞서는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2020년 3분기 실적을 발표한 11월 셋째 주에도 관심도 88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국내 토종 상위 제약사 4곳 관심도는 종근당(61)을 제외하고 30에 미치지 못했다.

관련기사보기

온라인 'ESG경영' 관심도 1위 한미약품…대웅·보령·유한 順

온라인 'ESG경영' 관심도 1위 한미약품…대웅·보령·유한 順

한미약품이 지난해 주요 제약사들 가운데 'ESG경영'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대웅제약과 보령이 뒤를 이었다. 20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해 제약사의 'ESG경영' 관련 포스팅 수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임의 선

R&D 칭찬받은 '종근당' 온라인 관심도 1위…동아·녹십자 順

R&D 칭찬받은 '종근당' 온라인 관심도 1위…동아·녹십자 順

종근당이 최근 2개월간 제약사 중 온라인 관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제약과 GC녹십자가 뒤를 이었다. 14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국내 12개 제약사에 대해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온라인 정보량(포스팅 수=관심도)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

제약기업 3분기 관심도, 종근당 1위…한미약품·대웅제약 順

제약기업 3분기 관심도, 종근당 1위…한미약품·대웅제약 順

종근당이 올해 3분기 국내 주요 제약사 중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를 기록했다. 한미약품과 대웅제약이 뒤를 이었다. 16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국내 10개 제약사에 대해 관련 게시물 수(관심도=포스팅

종근당, 제약업계 관심도 1위, 유한 보령 順…호감도 1위 동아제약

종근당, 제약업계 관심도 1위, 유한 보령 順…호감도 1위 동아제약

종근당이 올해 2분기에도 국내 11개 제약사 중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근당은 소비자 호감도에서도 2위를 차지, 소비자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호감도 1위는 동아제약이 기록했다. 29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