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한국파마 2341배 '최고'‥한올 504배, SK바사 197배 順

제약바이오기업 98개사 주가수익비율…34개사 순손실
코로나19 엔데믹 시대 맞아… "옥석 가려야 할 때" 지적

최봉선 기자 (cbs@medipana.com)2024-04-29 06:08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8) 주가수익비율(PER)
지난 26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코스닥 모두 전일대비 하루만에 상승 기류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KOSPI)는 전일 해외증시 하락에도 미국의 시간외 대형기술주 실적호조 등으로 상승 출발했고,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상승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금융업 +3.2%, 보험업 +2.6%, 증권 +2.1%, 의료정밀 +2.0% 올랐다.

코스닥(KOSDAQ)은 전일 나스닥 하락에도 반도체주 중심으로 기관 매수세가 유입되며 역시 상승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인터넷 +5.8%, 반도체 +2.4%, 컴퓨터서비스 +1.4%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이런 가운데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우 높은 성장성에 대한 기대만큼 기업가치도 크게 증가했던 시기도 있었으나 수년전부터는 글로벌 빅파마에 신약물질 기술수출 성과에도 제약주가 상승폭은 예년과는 달랐다. 이는 국내외 전반의 경제상황과도 연관이 있겠지만, 예전의 학습효과 등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을 바라보는 일반 투자자들의 시각이 신중해졌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등이 기대됐던 일부 제약바이오기업에 대해서는 엔데믹 상황에 접어들며 예전과 다르게 탄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무차별하게 주가가 상승했던 부분도 있던 만큼 이제는 옥석을 가려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이에 메디파나뉴스가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98개사(제약 지주사 포함)를 대상으로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는 일명 '퍼(PER)'라 불리우는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을 2023년말 보통주 1주당 순이익 대비 4월 26일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해 봤다.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PER는 투자판단의 지표로 사용된다. PER가 높으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게 평가됐으며, 반대로 PER가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됐다는 것을 의미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있다.
기업별 주가수익비율(PER)을 보면 한국파마가 2,341배로 집계 대상 기업 중 가장 높았다. 지난해 실적을 통해 보통주 기본주당 8원의 이익을 냈는데 지난 26일 한국파마의 종가는 전일대비 0.16%(30원) 내린 1만8,730원에 마감에 따른 주가수익비율이다.

이어 주당 69원의 이익을 낸 한올바이오파마가 이날 3만4,750원에 장을 마감, PER는 504배로 집계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 197배, 셀트리온제약 167배, 메디톡스 99, 파미셀 96배, 바이넥스 89배, 에스티팜 82배, 삼일제약 79배, 이연제약 71배, 안국약품 66배, 삼성바이오로직스 64배, 경보제약 60배, 동아에스티 51배, 제일약품 48배, 셀트리온 47배, CMG제약 46배, 유한양행 39배 순이다.

한미약품과 화일약품, 폴라리스AI파마 등이 27배, 대봉엘에스 26배, 휴젤과 알리코제약 25배, 메디포스트 24배, HK이노엔 23배, JW중외제약과 비씨월드제약, 한미사이언스 20배, 보령과 신신제약 18배, 현대약품 17배, 동구바이오제약과 파마리서치 16배, 동국제약과 팜젠사이언스, 고려제약 15배, 삼진제약과 위더스제약, 휴메딕스, 대원제약 등 4개사가 13배, 동아쏘시오홀딩스 12배, JW홀딩스와 서울제약, 대웅제약 11배, 하나제약 10배 등으로 집계됐다.

이외에도 대한뉴팜, 명문제약, 동화약품, 옵투스제약 각 9배, 휴온스 8배, 광동제약과 환인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휴온스글로벌, JW생명과학 7배, 종근당홀딩스를 비롯 종근당, 신일제약, 대한약품 6배, 대웅과 테라젠이텍스, 진양제약 5배, 삼아제약 4배로 나타났다.

기업의 순이익이 주식가격보다 크면 클수록 PER가 낮게 나타나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으로 볼 수 있어 그만큼 기업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반대로 PER이 높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순히 PER 값이 높고 낮다는 것을 놓고 주가를 평가하기는 힘들다. 시장 전체의 PER와 업종별 PER가 다르기 때문이다. 업종별로 차이가 있고 절대적인 기준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PER가 10이하(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10배 이내)일 경우 저 PER주로 분류된다.

예전에는 PER를 참고적인 기준 정도로 인식했으나 1992년 외국인 투자가 허용되면서 외국인들이 저 PER주를 집중 매입하면서 저 PER주가 테마로 형성됐고, 일반투자자들도 '저 PER주=좋은 주식'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한편 일동홀딩스, 경남제약, JW신약, 한국유니온제약, 제넥신, 삼성제약, 조아제약, 일동제약, 종근당바이오, 한독, 일성아이에스, 코오롱생명과학, 경동제약,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제일파마홀딩스, 유유제약, 국제약품, 씨티씨바이오, 신풍제약, 녹십자홀딩스, 부광약품, 현대바이오, 녹십자, HLB제약, 동성제약, 바이오니아, 일양약품, 영진약품, 차바이오텍, 대화제약, SK바이오팜, 삼천당제약, 알테오젠, 지씨셀 등 34개사는 지난해 순손실을 내면서 마이너스를 보였다. 

관련기사보기

상장제약기업, ROE 4.4%‥종근당 26.2% '최고' 기술수출 효과

상장제약기업, ROE 4.4%‥종근당 26.2% '최고' 기술수출 효과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7) 자기자본순이익률(ROE) 국내 상장 제약기업들은 지난해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이면서 자기자본순이익률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80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의 2022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자기자본순이익률 현황'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올린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6% 감소한 2조 2407억 원을 올린 가운데 자기자본은 39.4% 늘어난 50조 8544억 원 규모로 집계돼

CSO 의존도 높아지는 추세인가‥비상장제약사들 판매수수료 얼마?

CSO 의존도 높아지는 추세인가‥비상장제약사들 판매수수료 얼마?

국내 제약기업들의 CSO(Contracts Sales Organization, 판매대행업체)를 통한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수년전까지만 해도 비상장 중견·중소제약사 중심으로 자체 영업인력을 줄이고 CSO를 통한 판매를 확대해 왔으나 최근에는 경동제약, 명문제약, 알리코제약, 국제약품, 위더스제약, 유유제약 등 상장제약사들도 가세해 영업을 대행업체에 맡기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영업대행사(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화 약사법 개정안을 통과된 상황이라 향후 CSO 의존도 여부에 촉각이 모아진다. 이는 판매 대행

비상장 제약사들, 영업이익률 두자릿수 유지 선방‥명인제약 33.8%

비상장 제약사들, 영업이익률 두자릿수 유지 선방‥명인제약 33.8%

[비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비상장 제약사들은 지난해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도 두자릿수 영업수익성을 유지하며 선방했다. 메디파나뉴스가 외부감사 대상 중 매출 500억 이상 49개 비상장 제약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영업이익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전년대비 10.6% 성장한 6조 4936억 원의 매출을 달성한 가운데 영업이익은 1.3% 줄어든 6691억 원을 올려 평균 10.3%의 수익률을 보였다. 이는 2022년도 11.5%에 비해 1.2%p 감소한 수치이며, 90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곳간에 쌓아둔 잉여금, 삼바 9.6조 '최다'‥파마리서치, 유보율 '최고'

곳간에 쌓아둔 잉여금, 삼바 9.6조 '최다'‥파마리서치, 유보율 '최고'

[상장제약바이오기업, 2023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6) 잉여금 및 사내유보율 국내 주요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이 지난해 말까지 곳간에 쌓아놓은 사내유보금이 31조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80개 상장제약·바이오사의 2023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통해 분석한 '잉여금 및 사내 유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말 현재 잉여금으로 31조 5036억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말에 비해 6.5% 증가한 금액이다. 기업당 평균 3937억 여원을 보유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