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난치성고형암 혁신신약 개발 정부과제 주관 선정
서울대병원이 치료가 어려운 '삼중음성유방암 및 췌장암'을 극복하기 위해 혁신적인 신약개발 연구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연구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2029년까지 연구비 150억원을 투입해 진행된다. 이 프로젝트는 국가 난제를 해결하고 국민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임무중심형 R&D 사업으로, 서울대병원은 미정복질환 극복 임무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서울대병원은 서울대·KAIST·퓨처켐과 공동연구단을 구성해 난치성 고형암
이정수 기자25.02.17 14:52
혈액암부터 고형암까지…한국다케다, '온코 서밋 2025' 성료
한국다케다제약은 최근 세계적인 항암 분야 석학들과 함께 최신 암 치료 지견을 논의하는 '온코 서밋 2025(ONCO SUMMIT 2025)'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7일 밝혔다. 2018년에 시작돼 올해로 7회차를 맞이한 온코 서밋은 다케다제약 성장신흥사업부(Growth Emerging Market: GEM)와 한국다케다제약 의학부가 주최하는 학술행사다. 전 세계 종양학 전문가들과 아태 지역 의료진들이 모여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암 치료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17개국 300여명의 의료진이
최성훈 기자25.02.17 10:21
파로스아이바이오, 난치성 고형암 치료제 전임상 완료…본격 임상 추진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개발 전문기업 파로스아이바이오(대표 윤정혁)가 자사의 혁신 신약 후보물질 PHI-501에 대한 임상 1상 IND(임상시험계획승인)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이달 말 또는 내달 초 신청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번 IND 신청은 PHI-501의 인체 대상 첫 임상시험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특히 악성흑색종 및 난치성 대장암을 포함한 고형암 치료제 시장 공략을 목표로 한다. PHI-501은 파로스아이바이오의 AI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를 활용해 적응증을 예측 및 확장한 신규 항암
최인환 기자25.02.14 09:22
압타머사이언스, 고형암 국내 1상 허가…데이터 확보 주력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압타머사이언스가 고형암 치료제 'AST-201'에 대한 국내 임상 1상 시험을 허가 받았다. 국내외 기술이전 등을 추진하기 위해 임상 데이터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압타머사이언스는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압타머-약물접합체(ApDC) 고형암 치료제 AST-201의 국내 제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 앞서 지난 3월 식약처에 신청한 임상 시험이다. 해당 시험은 GPC3 양성인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서 AST-201 투여 시 내약성, 안전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장봄이 기자24.10.25 11:45
에이비엘바이오, ABL103 고형암 적응증으로 개발 가능성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에이비엘바이오의 파이프라인 중에 하나인 'ABL103'이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B7-H4 단백질을 타겟하고 있는 항암제로 개발 중이기 때문이다. 17일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기업보고서를 통해 "ABL103은 난소암, TNBC, 자궁내막암 등 B7-H4 발현이 높은 고형암을 대상으로 적응증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B7-H4는 PD-L1(B7-H1)과 같은 B7 패밀리 단백질이다. 난소암, 유방암, 자궁 내막암 등 암종에서 과발현 된다. 면역세포인
장봄이 기자24.10.17 11:40
고형암 최초 유전자조작 세포치료제 '테셀라' 美 승인
어댑티뮨 테라퓨틱스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어댑티뮨 테라퓨틱스(Adaptimmune Therapeutics)의 유전자조작 세포치료제 '테셀라'(Tecelra, afamitresgene autoleucel)가 고형 종양에 대해 미국에서 승인을 취득했다. 어댑티뮨은 2일 FDA가 테셀라를 활막육종 치료에 사용하도록 신속심사를 거쳐 가속승인했다고 발표했다. 테셀라는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를 유전자조작해 암세포에 대한 공격력을 높여 체내로 되돌리는 치료용 면역세포로, 기존 제품은 혈액암이 대상이었다. 그 외 장기에 생기는
이정희 기자24.08.06 11:01
티움바이오 'TU2218', 임상 1b상서 말기 고형암 환자 3명 부분관해 확인
희귀난치성질환 신약개발기업 티움바이오가 경구용 면역항암제로 개발 중인 'TU2218' 임상 1b상에서 추가 부분관해(PR, partial response) 환자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존 PR 결과를 보인 췌장암, 항문암 환자 2명에 이어 신규 PR 반응을 나타낸 환자는 폐암 환자로, 이로써 TU2218 임상 1b상에서 현재까지 PR 반응이 확인된 환자는 총 3명이다. 티움바이오는 현재 텍사스, 워싱턴 등 미국 내 3곳의 임상기관에서 진행성 말기 고형암 환자들 대상으로 TU2218과 키트루다(Keytruda)를 병용투여해 안
최인환 기자24.07.26 14:34
유틸렉스, 고형암 CAR-T 치료제 ESMO 초록 채택
유틸렉스는 자사가 개발 중인 고형암(간세포암) CAR-T 치료제 '307'의 임상 디자인으로 제출한 초록이 오는 9월 개최되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4에 채택됐다고 16일 밝혔다. EU307은 정상 간세포에 영향 없이 간세포암에 특이적으로 과발현하는 GPC3 암항원을 타깃하는 CAR-T 치료제다. 또한 IL-18 분비를 통해 CAR-T 세포 기능향상 및 종양미세환경(TME)을 개선하도록 설계됐다. 임상 디자인은 안정성, 내약성, 약동학(PK), 약력학(PD)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1상 용량 증량 방식으로 설
최인환 기자24.07.16 08:43
엔젠바이오, 베트남에 고형암 정밀진단 공급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 엔젠바이오는 베트남 최대 국공립 박마이 병원에 NGS 기술 기반의 고형암 정밀진단 제품 솔리드아큐테스트™(SOLIDaccuTest™)와 유방암 및 난소암 정밀진단 제품인 브라카아큐테스트™(BRCAaccuTest™)을 공급하게 되었다고 19일 밝혔다. 엔젠바이오는 5월 박마이 병원 공급 입찰에 참여해 지난 10일 박마이 병원로부터 두 제품의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아 공급하게 됐다. 박마이 병원은 1911년 설립돼 100여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병원으로 베트남 병원 중 최초
장봄이 기자24.06.19 09:26
LG화학, 차세대 면역관문억제제 개발 착수‥고형암 치료 솔루션 확대
LG화학이 고형암 환자들의 치료 기회 확대를 위한 차세대 면역관문억제제 임상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LG화학은 11일, 첫 자체개발 항암신약 물질인 'LB-LR1109(연구과제 코드명 LR19155)' 미국 임상 1상에 시험자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 후보물질은 'LILRB1(Leukocyte Immunoglobulin Like Receptor B-1)' 억제 기전의 단일 항체 약물로 다양한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는 면역관문(면역계 회피) 신호 분자인 'LILRB1'과 암세포에서 발현되어 면역세포의 공격을 막는 단백질인 HLA-G(Hum
최봉선 기자24.06.11 08:13
'엔허투' 암종 불문 HER2 양성 고형암 FDA 승인
AZ-다이이찌산쿄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의 항암제 '엔허투'(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가 여러 고형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미국 FDA로부터 승인을 취득했다. 엔허투는 그동안 유방암과 폐암, 위암에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보다 많은 종류의 암에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취득한 적응증은 암세포의 표지 단백질인 'HER2'가 양성 타입인 암환자가 대상이며, 치료 후 전이나 재발을 하고 다른 치료수단이 없는 환자에 투여한다. 담도암과 방광암, 자궁경부암, 난소
이정희 기자24.04.09 08:52
암종불문 고형암 치료제 라핀나·매큐셀 인포그래픽 공개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자사의 BRAF V600E 표적치료제 라핀나·매큐셀(다브라페닙메실산염, 트라메티닙디메틸설폭시드) 병용요법의 적응증이 암종불문 고형암으로 확대된 것을 기념하는 인포그래픽을 공개했다고 5일 밝혔다. 라핀나·매큐셀은 지난해 11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전이성이며, 기존 치료 이후 질병이 진행돼 현재 이용 가능한 적합한 치료제가 없는 6세 이상 소아 및 성인 BRAF V600E 변이 고형암 환자를 위한 표적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이번 인포그래픽은 ‘BRAF V6
최성훈 기자24.04.05 09:06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협-교수단체, 의대생 현안 간담회…"지원방안 강구"
2
[창간기획中] 인력·진료 차질에 2차 개혁까지…병원급 '첩첩산중'
3
명인제약, 곳간에 이익잉여금 5천억‥재무건전성 업계 최고
4
약사회, 산불 피해 이재민 의약품 지원 '긴급재난구호단' 구성
5
GC녹십자, '알리글로' 등 품목 매출 확대 효과‥1Q 실적↑
6
한국MSD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 선택 기준은 면역원성"
7
첫 발 뗀 대한약사영양학회…"약사 임상영양요법 저변 확대할 것"
8
선배의사 '제적 시 투쟁' 선언 확산…"제적 협박 중단"
9
바이오 M&A보다 '기술거래' 선호…가격경쟁력 필수적
10
릴리 고지혈증 치료 후보물질 '레포디시란' Lp(a) 94% 감소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