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비상대책위원회가 교육부에 조건 없는 의대생 휴학승인과 의대교육 정상화방안을 촉구하면서 제대로 된 방안마련이 안 될 경우 다른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의료계 일부에서는 공감을 나타내면서도 서울의대의 독자적인 행보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내놨다.
14일 서울의대비대위는 성명서를 통해 "교육부는 2025년의 의과대학 수업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방안을 2025학년도 개학 5개월 전인 이제라도 제시하라"며 "학생들의 휴학은 조건 없이 승인되고 의과대학 교육은 정상화돼야 한다. 우리는 병원에서 환자 진료를 지속하고 수련을 원하는 전공의들을 교육할 것이며 남아있는 학생들의 학습권을 수호할 것이나, 제대로 된 학생 교육을 할 수 없는 것이 자명해진다면 다른 조치를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B상급종합병원 교수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교육체계를 교육부에서 흔든다고 하는 것은 의대정원 증원과는 또 다른 얘기라고 생각한다. 정부가 교육도 제대로 안 시킨 사람을 진급시키고 어떻게 해서든지 의사를 양성하겠다는 것은 굉장히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며 "만약, 정부가 그런 식으로 추진하겠다면 집단적인 저항이 있을 가능성도 크다"고 내다봤다.
이어 "대학에서는 탁월한 교육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기여하는 부분들이 있는데 그런 것들을 행정가가 자기들 마음대로 깨부수겠다는 그런 발상으로 비출 수밖에 없다. 그것을 어떻게 납득할 수 있겠는가“라고 되물었다.
대한의사협회 채동영 홍보이사도 현 교육부의 주장대로 가면 교육이 제대로 안 될 게 뻔한 상황이기 때문에 교수들이 좀 강하게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같다며 공감을 나타냈다.
채동영 이사는 "불가능한 것을 (교육부에서) 하라고 하니까 어떻게 해서든 그것을 막아내려는 것 같다. 그렇게 되면 극단적인 방법으로 점점 치달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같은 의료계 내에선 서울의대비대위의 행보에 대해 논의와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관계자는 "서울의대비대위를 제외한 다른 39개 대학 교수단체는 서울의대비대위의 독자행동으로 인해 곤란한 면이 있었다. 서울의대비대위 주최로 대통령실 장상윤 수석과 진행한 토론회의 경우도 거의 모든 교수단체 내부에서 반대를 했다. 그런데 서울의대비대위에서 밀고 나갔다"고 지적했다.
일반과개원의협의회 좌훈정 회장도 "서울의대비대위가 토론회, 휴진, 준법투쟁 등을 할 때 의료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행하기 전에 다른 의사 동료들이나 전공의, 의대생들의 의견도 들어보고 공감대를 형성했으면 좋겠다. 예컨대, 이번 토론회에 대해서 의료계에서는 시기상조라던가, 대화 시점이나 초청 패널도 적절하지 않았다는 지적들이 나왔다"고 언급했다.
또 "서울의대비대위에서 교육부에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제대로 된 방안을 강구하라는 얘기도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다른 방안이 뭔가? 이미 전공의, 의대생들은 요구조건을 명확하게 제시했다. 서울의대비대위가 취해야 될 행동은 전공의, 의대생들이 주장한 요구 조건들을 들어달라고 해야 하는 것이다. 의대생들의 휴학을 조건 없이 승인해야 한다는 내용은 이미 의대생 8대 요구조건 안에 들어가 있다"고 지적했다.
의대생 8대 요구 사항(3월 24일)은 ➀ 필수의료패키지·의대증원 전면 백지화 ➁ 의정 동수의 보건의료 거버넌스 구축 ➂ 정책 졸속 추진 사과 ➃ 의료행위 특수성 고려한 의료사고 제도 도임 ➄ 합리적 수가 체계 ➅ 의료전달체계 확립 ➆ 수련환경 개선 ➇ 휴학계에 대한 공권력 남용 철회다.
좌훈정 회장은 "결국 전공의, 의대생들이 돌아오게 하려면 그들이 요구하는 조건을 들어줘야 한다. 교수들이 해야 할 일은 그들의 조건을 들어주라고 정부에 요구하는 것이다. 그것이 올바른 주장일 것이다. 전공의나 의대생들의 요구는 너무나 분명하니까, 그것을 요구해야지 다른 걸 요구할 필요가 없다"고 피력했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