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전문가들 "PPI, P-CAB 상호보완적…안전성은 PPI"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약 1조원에 달하는 국내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시장. 관련 마켓을 대표하는 약제인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P-CAB)를 간접적으로 비교하는 자리가 열렸다. 국내 소화기내과 전문가들은 관련 치료에 있어 PPI와 P-CAB은 상호 보완적이라면서 안전성 측면에선 개발 역사가 긴 PPI에 조금 더 무게를 뒀다. 20일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서울 조선팰리스 강남에서 위식도 역류질환(GERD) 치료제 '넥시움(에스오메프라졸)' 국내 출시 25주년을 기념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최성훈 기자25.02.21 05:55
서울대병원, 미세갑상선유두암 고주파절제술 효과·안전성 확인
저위험 미세갑상선유두암에 대한 고주파절제술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돼, 신체적 부담이 적은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지훈·이지예 교수와 내분비대사내과 박영주 교수 연구팀이 고주파절제술을 받은 12-60세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 98명을 최대 4.8년간 추적 관찰해, 고주파절제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고 이날 밝혔다. 종양 크기 1cm 이하인 미세갑상선유두암은 진행이 느리고 예후가 좋은 암이다. 치료 옵션으로 갑상선 절제수술 또는 적극적 관찰이 권고된다
이정수 기자25.02.19 15:35
한의원 처방 한약, 67만명 대상 연구에서 간독성 안전성 확인
한의의료기관에서 처방한 한약은 간독성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사실이 67만명이 넘는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원성호 교수팀과 단국대학교 이상헌 교수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이용해 67만2411명 환자를 대상으로 한의의료기관을 통한 한약 처방이 '약물 유발 간손상(DILI; Drug Induced Liver Injury)'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한의의료기관에 내원했거나 한약 처방을 받은 후 90일 이내에 약물
이정수 기자25.02.10 16:42
JVM 'ACRS', 약국 필수 시스템 정착…조제 정확도·안전성 모두 갖춰
의약품 자동화 시스템 전문기업 제이브이엠(JVM, 한미사이언스 계열사)이 개발한 ACRS(Automatic Canister Recognition System)가 약국 자동화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ACRS는 약품의 위치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시스템으로, 약국 내 조제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투약 오류를 방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약사들의 업무 환경 개선은 물론, 환자 대기 시간 단축과 투약 안전성 강화로 약국 운영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제이브이엠의 ACRS 시스템은 캐니스터(약품 보관 용기)에 부착된 칩(Chi
최인환 기자25.01.22 09:19
'의료기기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면제 대상'에 15개 추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7일 국제규격 등에 따라 안전성이 확보된 의료기기 원재료 5개와 품목 10개를 '의료기기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면제 대상'에 추가해 공고했다고 30일 밝혔다. 생물학적 안전성시험은 인체에 직접 접촉·삽입되거나 인체에 주입하는 혈액·약물과 직접 접촉하는 의료기기의 경우, 세포독성이나 이식시험 등을 통해 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걸 가리킨다. 인체에 직접 접촉하거나 삽입되는 의료기기는 허가 신청 시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자료를 제출해야 하나, 국내·외 규격 등에 따라 안전성이
문근영 기자24.12.30 10:14
동아에스티 메타비아, MASH 신약 임상서 유효-안전성 확인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의 자회사 메타비아(MetaVia, 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MASH(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로 개발 중인 'DA-1241'의 글로벌 임상 2상 탑라인 데이터(Topline data)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DA-1241 글로벌 임상 2상은 MASH 환자 대상 두 파트로 나누어 진행됐다. DA-1241 글로벌 임상 2상 파트1은 위약군과 DA-1241 50mg 단독군, DA-12
최봉선 기자24.12.19 09:08
경희대병원, 자궁탈출증에 자궁보존술 유효성과 안전성 확인
경희대병원은 산부인과 황우연 교수팀(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전명재 교수, 교신저자 :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서동훈 교수)이 자궁탈출증 치료법인 자궁적출술과 자궁보존술의 무작위·비열등성 연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탈출하는 것으로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일상생활에서 불편과 고통을 유발한다. 대표적인 원인은 출산과 노화이며, 증상과 탈출의 정도에 따라 치료법을 결정하는데, 자궁 적출에 대한 두려움이 커 수술적 치료에 대
이정수 기자24.12.16 18:49
LG화학, 통풍 신약 'Tigulixostat' 3상서 유효성·안전성 확인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LG화학은 14일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을 통해 통풍 신약후보물질 '티굴릭소스타트(Tigulixostat, LC350189)' 3상 탑라인 결과를 이날 수령했다고 공시했다. 해당 3상은 고요산혈증을 동반한 통풍 환자 353명을 대상으로 Tigulixostat의 혈중 요산 강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무작위 배정, 평행군, 위약 대조, 이중 눈가림 방식 임상으로, 2022년 9월 미국 FDA로부터 승인된 바 있다. 미국을 비롯해 총 4개 국가에서 승인됐으며, 55개 기관에서 실시됐다. 임상
이정수 기자24.11.14 18:15
안전성 내세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국내서도 활발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의 안전성을 내세운 신약 개발이 국내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치매, 파킨슨 등 뇌·신경 질환으로 적응증을 확대해 신약 개발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3일 한국바이오협회 등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사들은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치매 신약 개발에 진출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기존 바이오 의약품 대비 안전성이 우수해 신약 개발 성공성이 높고, 소요 기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적용 가능성이 높다.
장봄이 기자24.11.04 11:56
만성 신장병 환자 대상 지중해식 식단 효과 및 안전성 확인
지중해식 식단이 만성 신장병 환자에게 대사성 산증 개선과 신장 보호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신장내과 이정은 교수 연구팀은 메디쏠라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지중해식 식단이 만성 신장병 환자의 칼륨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대사성 산증을 개선시키고 신장을 보호한다고 22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뉴트리션(Frontiers in Nutrition)’에 게재됐다. 만성 신장병 환자는 신
김원정 기자24.10.23 09:44
큐라클-안전성평가연구소, '반려동물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맞손
난치성 혈관질환 신약개발 기업 큐라클은 안전성평가연구소와 '반려동물 난치성 질환 치료제 공동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제휴에 따라 양측은 큐라클의 반려동물 의약품 CP01-R01 등의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기술 산업화와 인허가 지원을 통한 반려동물 의약품의 상용화에도 함께 협력할 계획이다. CP01-R01은 인의약품으로 개발 중인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 CU06의 반려동물 의약품 확장 프로젝트다. 만성신장질환과 같이 반려묘나 반려견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난치성 신장
장봄이 기자24.10.17 10:08
의수협, 의약품시험연구원에 '안전성 평가 연구센터' 신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가 부설 한국의약품시험연구원에 화장품 원료 및 완제품 안전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연구센터'를 신설한다고 15일 밝혔다. 의수협은 안전성평가연구센터를 소비자 보호와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해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외 화장품 기업에게 안전성 평가 및 PIF(제품정보화일) 작성 지원,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 및 인체외적용시험(in vitro), 최신장비를 활용한 화장품 원료 및 완제품의 정량 및 정성분석, 화장품, 의약외품 품질관리 컨설팅서비스 등을 제공한다고 부연했다. 의수협 자료에 따르면, 최신
문근영 기자24.10.15 09:38
[국감] '다이어트 보조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안전성 도마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다이어트 보조제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안전성이 국정감사 도마에 올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연말 재평가 결과에 따라 조치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국회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은 10일 보건복지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성분 안전성 문제를 조명했다. 식약처는 건강기능식품 섭취 후 이상징후나 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이상사례를 신고하고 인과관계를 조사, 심의하고 있다. 체지방 감소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최근 5년간 1589건 이상사례가 신고된 바 있다. 백 의원은
조후현 기자24.10.10 15:42
간암 방사선색전술, 초기 환자에도 임상 효과·안전성 확인
보스톤사이언티픽 '테라스피어(TheraSphere™ Y-90 Glass Microspheres)'를 이용한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Transarterial radioembolization, TARE)이 매우 초기 또는 초기 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국내 연구자 주도 연구의 중간 결과가 발표됐다. 기존 연구가 주로 중기 및 말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과 달리, 이번 연구는 방사선색전술이 초기 간암 환자에게도 유용하다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 주도 연구인 'Korean multicenter p
최성훈 기자24.10.08 14:17
동아에스티 자회사 뉴로보, 비만신약 글로벌 1상 우수한 안전성 확인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의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비만치료제 DA-1726의 글로벌 임상 1상 파트1에서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 용량-선형적 약동학 특성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DA-1726 글로벌 임상 1상은 약물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을 확인하기 위해서 파트1 단일용량상승시험과 파트2 다중용량상승시험으로 나누어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진행 중이다. 파트1은 비만 환자 및 건강한 성인 45명을 대상으로 DA-1726 또는 위약을
최봉선 기자24.10.02 09:28
"병원 같은 다중이용시설, 안전성 이슈‥새로운 살균 기술 필요"
종근당은 지난 8월 '바이오 스파이크 가드 스파이크 심포지엄'(이하 스파이크 심포지엄)을 개최해 내성균 증가에 따라 새로운 살균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차세대 살균제인 디데실디메틸암모늄염화물(DDAC)과 차세대 항균코팅물질(Si-QAC) 복합제의 우수성을 알렸다. 2020년 2월, 국내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첫 사망 사례가 나온 이후 지난 4년간 약 3만50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엔데믹 상황에서도 백일해, 마이코플라즈마폐렴, 식중독 등 세균성 질환은 지속적으로 유행했으며, 최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가 재확산 되면서
조해진 기자24.09.11 05:56
전신농포성건선 치료제 '스페비고', ASP서 효능 안전성 재확인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 안나마리아보이)은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제2회 아시아건선학회 학술대회(ASP, Asian Society for Psoriasis)에서 자사의 전신 농포성 건선(GPP) 치료제 '스페비고(스페솔리맙)'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한 글로벌 주요 임상 및 아시아 지역 리얼월드 연구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아시아건선학회(ASP, Asian Society for Psoriasis)는 아시아 지역의 건선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연구와 교육, 환자 치료에 대한 새로운 지식 등
최성훈 기자24.09.03 10:40
스텔라라, 한국인 크론병 환자서 효과·안전성 확인
한국얀센은 스텔라라 정맥주사 및 스텔라라 프리필드주(우스테키누맙)의 한국인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전향적 관찰연구(RWE)이자 시판 후 조사(PMS) 연구인 'K-STAR'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가 염증성 장질환 분야 전문 의학저널인 Inflammatory Bowel Disease(IBD 저널)을 통해 발표됐다고 30일 밝혔다. K-STAR 연구는 한국인 활동성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침범 부위(disease location)와 질병 양상(disease behavior)을 구분해 임상적 반응 및 내시경적 관해 측면에서 우스
최성훈 기자24.08.30 13:59
메디포스트, ‘SMUP-IA-01’ 장기적 유효성 및 안전성 확인
메디포스트(대표 오원일)의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SMUP-IA-01'의 장기적 유효성과 안전성이 투약 후 4년 후까지도 지속됨을 확인했다. 메디포스트는 최근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SMUP-IA-01'의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번 투약 4년 후 장기적 유효성 및 안전성 데이터는 지난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된 임상 1상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장기추적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SMUP-IA-01은 메디포스트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고효능, 저비용' 줄기세포배양 플랫폼 스멉셀(SMUP-Ce
최인환 기자24.08.29 10:23
ADC, 용량 설정·안전성 확보로 글로벌 시장 확대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항체-약물 접합체(ADC)' 치료제가 대세 기술로 떠오르면서 다수 치료제가 시장에 진출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량 설정과 안전성 확보 등을 통해 추가적인 신약 등장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유안타증권이 지난 8일 발행한 제약바이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ADC 치료제는 총 11개다. ADC는 항체, 페이로드(세포독성 물질)와 이를 연결하는 링커로 구성돼 있다. 항체를 이용해 표적 항원이 발현된 세포에 페이로드를 전달하는 방식의
장봄이 기자24.08.14 11:54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의협-교수단체, 의대생 현안 간담회…"지원방안 강구"
2
[창간기획中] 인력·진료 차질에 2차 개혁까지…병원급 '첩첩산중'
3
명인제약, 곳간에 이익잉여금 5천억‥재무건전성 업계 최고
4
약사회, 산불 피해 이재민 의약품 지원 '긴급재난구호단' 구성
5
GC녹십자, '알리글로' 등 품목 매출 확대 효과‥1Q 실적↑
6
한국MSD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 선택 기준은 면역원성"
7
첫 발 뗀 대한약사영양학회…"약사 임상영양요법 저변 확대할 것"
8
선배의사 '제적 시 투쟁' 선언 확산…"제적 협박 중단"
9
바이오 M&A보다 '기술거래' 선호…가격경쟁력 필수적
10
릴리 고지혈증 치료 후보물질 '레포디시란' Lp(a) 94% 감소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