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5.01.31 11:59
경보제약, 영업이익률 2020년 수준 회복…완제 등 매출액↑
지난해 영업이익률 4.4% 기록…전년 2.6% 대비 1.8%p 증가 영업이익률 4%대, 2020년 이후 4년만…2021년엔 영업손실 영업익 증가율, 영업이익률↑견인…매출액 증가율보다 높아 2023년 매출액 증가분, 매출원가 및 판관비 증가분 대비 커 '멕시제식주' 등 완제의약품, 경보제약 매출액 확대 기여 중 완제의약품 매출액 비중 늘어…지난해 3분기에 40% 육박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경보제약 영업이익률이 4년 만에 4%대로 올라섰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영업이익률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최근 매출액 증가분은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증가분보다 컸으며, 완제의약품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보제약 영업이익률은 개별 재무제표(잠정 실적) 기준으로 4.4%다. 이는 전년 2.6% 대비 1.8%p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경보제약 영업이익률이 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회사는 2022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 후 2023년에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1.9%p 증가한 바 있다. 또한
경영실적분석
조해진 기자
25.01.20 05:55
영진약품, 3년 연속 실적 성장세…글로벌 기업 도약 노린다
지난해 영업이익 179.8% 증가 및 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경 공시 3년 연속 매출액 및 영업이익 성장…주요 품목 매출 증가 영향 도네리온패취 독점 유통 및 항생주사제동 증축…성장동력 마련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영진약품이 지난해에도 실적 성장에 성공하며 3년 연속 꾸준한 성장을 나타냈다. 이에 더해 성장동력을 추가 확보하면서 성장세 기반을 다지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영진약품은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 법인 15%) 이상 변경 공시를 통해 개별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액 2520억원, 영업이익 8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실적을 결산한 결과, 전년대비 매출액 7.3%, 영업이익 179.8% 증가, 순이익 흑자전환이 이뤄졌기 때문에 공시된 것이다.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경 공시는 회사 연간 실적 내부결산 당일, 주재무제표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
경영실적분석
장봄이 기자
24.11.23 05:59
제약바이오社 평균 급여 4500만원…전년보다 3% 늘었다
77개 주요 상장사 평균 급여 지난해 4390만원서 소폭 상승 고임금 유한양행>SK바이오팜>대원·이연제약·일양약품 순 1년새 급여 상승폭은 씨티씨바이오 파마리서치 유한양행↑ 평균 직원수 715명…삼바 5000명 육박 압도적 1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직원수 및 평균급여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직원 평균 급여는 45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평균 급여인 4390만원보다 3% 정도 증가한 셈이다. 3분기 기준으로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기업은 유한양행으로 나타났다. 직원수는 지난해 686명에서 올해 715명으로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22일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의 올해 3분기 보고서(일부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직원 평균 급여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정도 증가한 4500만원으로 확인됐다. 남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4.11.22 05:59
상장 제약·바이오, R&D 비율 8%대 유지…투자 비용은 6% ↑
77개사 3분기 누계 연구개발비율 8.26%, 전년比 0.64%p ↓ 유한양행·비씨월드제약·일양약품, R&D 비율 10%대로 증가 연구개발비 증가 업체 45곳 > 감소 업체 32곳…투자 금액 확대 R&D 비용 1000억원 이상 업체 9곳 중 GC녹십자만 비용 감소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연구개발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비율 8%대를 유지했다. 아울러 제약·바이오사 5곳 중 3곳에서 연구개발비율이 감소했으나, 절반 이상 업체에서 투자금액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나타나 업계 내 연구개발 투자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보고서를 분석해 연구개발비용 및 매출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11.21 05:58
올해 상장 제약·바이오, 버는 것보단 쓰는 것에 더 적극적
77개 업체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3분기 보고서 분석 3분기 누계 판관비율 33.6%, 지난해 32.6% 대비 1%p↑ 판관비율 감소 36곳, 증가 41곳…30~40%대가 가장 많아 화일약품-SK바이오팜, 매출원가율이 판관비율에 영향 줘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돈을 버는 것보다 쓰는 것에 비교적 더 적극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판매관리비 증가율이 늘어난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았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77개 업체에서 발생된 총 누계 판관비는 8조9399억원으로 같은 기간 발생한 매출액 26조6069억원 대비 33.6%였다. 지난해 3분기 누계 판관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11.19 05:58
상장 제약·바이오 영업이익률 살펴보니…원가·판관비 다양
77개 업체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3분기 보고서 분석 SK바이오팜, 판관비 크게 낮춰 영업이익률 개선 극대화 유바이오, 원가+판관비 동시 절감…종근당바이오, 원가 집중 SK바이오사이언스, 1년 새 판관비 60%p 증가…독보적 규모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영업이익률 증감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영업이익률 개선이 업체마다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올해 3분기에는 영업이익률 개선보단 부진을 겪은 업체가 더 많았다. 이는 18일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보고서를 분석해 영업이익률 증감 현황을 집계한 결과다. 올해 3분기 누계 기준으로 영업이익률을 가장 많이 끌어올린 업체는 SK바이오팜이다. SK바이오팜은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율을 지난해 114.1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11.18 05:59
상장 제약·바이오, 매출원가율 56%대 유지…부담↑ 업체 많아
77개사 3분기 누계 매출원가율 56.55%, 전년比 0.08%p↑ 매출원가율 증가 업체 42곳 > 감소 업체 35곳 SK바이오팜·휴젤·파마리서치 등 매출원가율 상위권 여전 매출 최상위권서 유한양행, HK이노엔 매출원가율 개선 뚜렷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올해 제약·바이오 매출원가율이 지난해보다 같은 기간에 비해 소폭 늘었다. 지난해보다 매출원가율이 늘어난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았다. 17일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올해 3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누계 총 매출원가는 15조449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준 총 매출액 26조6069억원과 비교하면 56.55%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누계 매출원가율 56.46% 대비 0.08%p(포인트) 높아진
경영실적분석
최성훈 기자
24.11.18 05:58
의료AI 기업 옥석 가려지나…올해 매출 '부익부 빈익빈'
루닛·뷰노, 올해 3분기 누적 최대 매출 달성 볼파라 M&A·필수의료 된 딥카스 효과 톡톡 코어라인소프트·제이엘케이 올해 실적 개선은 아직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국내 주요 의료 인공지능(AI) 상장사들의 외형에 희비가 엇갈렸다. 국내 의료AI 쌍두마차인 루닛과 뷰노는 올해 3분기까지 꾸준히 실적을 확대한 반면, 코어라인소프트와 제이엘케이는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했다. 딥노이드는 2, 3분기 들어 깜짝 실적을 기록했지만, 의료AI 산업에서는 실적 반등에 실패했다. 17일 메디파나뉴스가 국내 의료AI 상장사 5개 기업 분기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 루닛, 볼파라 인수 효과…첫 300억 달성 루닛은 3분기에만 매출 167억원을 기록, 사상 첫 연매출 300억원을 돌파했다. 연매출 300억원은 국내 의료AI 상장사 중에서는 처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11.15 05:59
77개 상장 제약·바이오, 3분기 누적 매출 11%↑-이익률 1%↓
총 매출액 26조6069억, 전년比 11.3% 증가…상반기와 비슷 55곳 매출↑, 22곳 매출↓…매출 하락 대다수 하위권 몰려 삼바, 3분기 만에 매출 3조원대…보령, 1조 클럽 진입 예고 이익률 9.85%, 전년비 1.06%↓…매출-영업익 온도차 주목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3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업체 외형적 규모가 상위권 주도 하에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77개 주요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누적 실적을 집계한 결과, 총 매출액은 26조6069억원으로 전년 동기 23조9058억원 대비 11.3% 증가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 메디파나뉴스가 집계·분석했던 성장률 11.3%와 동일한 수준이다. 업체 수로 보면, 올해 상반기에 매출액 확대에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4.11.14 05:59
동화약품, 매출 4000억 '가시권'…해외 약국체인 인수 영향 커
3분기 매출 1102억원, 전년 比 26.0% ↑ 3분기 누적매출 3442억원으로 전년도 연매출에 근접해 지난해 인수 '중선파마', 3분기 누적매출 542억원 기록 매출원가·판관비 상승·중선파마 점포 확대 등으로 영업이익 감소…3분기 손실 기록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동화약품이 올해 3분기 외형 성장세를 지속하며 첫 연매출 4000억원 돌파 가능성을 높였다. 올해 기록한 외형 성장은 지난해 인수한 베트남 약국체인 '중선파마(TRUNG SON Pharma)' 영향이 컸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화약품은 올해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1102억원으로 전년 동기 875억원 대비 26%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3442억원으로 전년 동기 2768억원 대비 2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난해 연매출 3611억원에 근접한 수치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성장세를 유지한다면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을 갱신하는
경영실적분석
장봄이 기자
24.10.29 05:58
유한양행, '렉라자' 기술료+해외사업 매출에 3Q 급등
3분기 별도매출 5852억·영업익 545억원 기록 라이선스 수익 982억으로 전년비 2만% 폭등 약품사업부 매출 유지세…해외사업부 20% 증가
[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유한양행이 3분기 급등한 성과를 받았다. 자체 개발한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레이저티닙)'가 지난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으면서 라이선스 수익이 급등한 데 따른 것이다. 동시에 약품사업부는 유지세를 이어갔고, 해외사업부가 매출 20% 상승세를 나타냈다. 28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3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5852억원, 영업이익 54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8%, 690.6% 증가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같은기간 85.1% 증가한 237억원으로 나타났다. 3분기 매출액은 렉라자의 라이선스 수익(기술료)이 한 몫 했다. 회사의 라이
경영실적분석
문근영 기자
24.09.20 05:59
사업 호조로 HK이노엔 영업이익률↑…두 자릿수 회복하나
분기 영업이익률,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증가 흐름 지속 케이캡 수익성 개선·영양수액 매출↑, 영업이익률 확대에 기여 지난해 컨디션 매출, 2019년·2020년 매출 대비 20% 이상 늘어 증권업계, 올해 HK이노엔 영업이익률 10% 넘어설 것으로 전망 회계년도 영업이익률 두 자릿수 회복하는 건 2020년 이후 처음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HK이노엔 분기 및 회계년도 영업이익률이 늘고 있다. 올해 영업이익률은 전문의약품을 비롯해 헬스앤뷰티(H&B) 사업 매출 확대에 힘입어 두 자릿수로 올라설 전망이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이 회사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98.4% 증가한 9.6%다. 분기별로 구분 시, 1·2분기 영업이익률은 8.1%, 11.1%로 전년 동기 대비 206%, 58.9% 늘었다. 해당 수치는 분기 영업이익률 증가 흐름이 이어지는 상황을 보여준다.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는 경우,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HK이노엔 분기 영업이익률은 전년
경영실적분석
최인환 기자
24.09.18 05:59
'파스 명가' 신신제약, 새 먹거리 '외용액제'·'티눈제' 부상
올해 상반기 주력 품목 '첩부제' 매출 비중 53.55%로 전년比 0.89%p ↓ 같은 기간 '외용액제' 비중 18.91%→21.54%, 티눈제 3.85%→4.18%로 증가
[메디피나뉴스 = 최인환 기자] '신신파스' 등 첩부제 품목을 주력으로 내세우는 신신제약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외용액제'와 '티눈제'가 떠오르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상반기 신신제약 파스(첩부제) 품목 매출은 290억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55%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280억원, 54.44% 대비 매출은 3.5% 증가, 전체 매출 비중은 0.89%p 감소한 수치다. 최근 3년간 신신제약 첩부제 매출은 2021년 383억원, 2022년 439억원, 2023년 559억원으로 지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첩부제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08.22 05:59
76개 제약·바이오, 올上 판관비율 1.1%p 증가…43곳↑·33곳↓
상반기 총 매출액 대비 판관비율 34.38%…전년比 1.14%p↑ 셀트리온·한국유니온제약 등 조사대상 절반 이상 판관비율 증가 신풍제약·SK바이오팜 등 절반 이하 판관비율 감소 삼바, 유한, 종근당 등 매출 상위권 일부 20~30% 범위 포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판매관리비율이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판매관리비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을 앞선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소폭 많았다. 21일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상반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76개 업체에서 발생된 총 판관비는 5조8894원으로 같은 기간 발생한 매출액 17조1286억원 대비 34.38%였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에 판관비 5조1048억원,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08.21 05:57
주요 제약·바이오 10곳 중 6곳, 올上 영업 통해 현금 모았다
76개사 영업활동 의한 현금 1.39조 유입…전년比 2.4% 감소 현금유입 50곳, 현금유출 26곳…현금 모아둔 업체가 더 많아 삼바로직스 영업활동 통한 현금유입량 5293억원 가장 많아 한미약품·휴젤, 유입량 상당…녹십자·동아 등은 사용량 상당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10곳 중 6곳 이상이 올해 상반기 영업활동을 통해 현금을 모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상반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 중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을 분석한 결과, 현금 총 1조3890억원이 유입돼 전년 동기 1조4235억원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란 주요 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현금 유입과 유출을 의미한다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08.20 05:58
제약·바이오, 상당수 매출원가 부담↑…매출원가비율은 '제자리'
올해 상반기, 76개사 중 매출원가비율 증가 42곳, 감소 34곳 업계 전체 매출원가비율 56.57%, 전년比 0.03%p↓ SK바이오팜 가장 낮고, 화일약품 가장 높아…40~70% 대다수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상당수는 올해 상반기에 매출원가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상반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매출원가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난 업체는 42곳, 줄어든 업체는 34곳이었다. 매출원가 부담이 커진 업체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았다. 매출원가비율이 늘어난 업체 수가 비교적 많았지만, 업계 전체 매출원가비율은 제자리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08.19 05:59
제약·바이오, 낮아진 수익성…76개사 中 상승 26곳·하락 50곳
76개사 올 1분기 영업이익률 9.05%…1만원 팔아 905원 수익 전년 동기 대비 1.14%p 감소…2022년 10% 이후 계속 줄어 상승·개선보다 하락·악화 사례 더 많아…업계 상황 방증 영업이익률 0% 이상~10% 미만 업체 36곳으로 가장 많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영업이익률이 매출 증가에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영업이익률 하락 자체는 부정적이지만, 그 배경에 신약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도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8일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상반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총 매출액은 17조1286억원, 총 영업이익은 1조5506억원으로 이에 따른 영업이익률은 9.05%였다. 매출 1만원 당 905원을 남긴 셈이다.
경영실적분석
조해진 기자
24.08.17 05:59
코스피 제약바이오 상위 15개사, 상반기 매출↑…순위변동 두각
코스피 상위 15개사 상반기 실적, 연결재무제표 기준 집계 15개사 상반기 매출액 13% 증가…삼바·셀트리온 등 최대 매출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각각 7.7%, 22.4% 감소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코스피(KOSPI)에 상장된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상위사의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6% 증가하며 외형성장을 이룬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16일 코스피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상위 15개사에 대한 올해 상반기 실적을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 총 매출액은 10조894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매출액인 9조8612억원 대비 13.6% 늘어난 수치로, 5개의 기업을 제외하고 10개의 기업 외형이 성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15개사 중 상위 3개사는 매출 성장은 물론, 전년과 동일한 순위를 지켰다.
경영실적분석
이정수 기자
24.08.16 12:34
76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가파른 성장세…영업익 호조
총 매출액 15조786억, 전년比 11.3% 증가…지난해보다 높아 상-하위권 매출 성장률 격차 11.9%p…매출 빈부 여전 헬스케어 합병한 셀트리온, 별도 기준 1위로 올라서 영업익도 매출 증가 맞춰 14.5% 증가…일동·SK바이오팜 주목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업체 외형적 규모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메디파나뉴스가 76개 주요 상장(코스피·코스닥) 제약·바이오 업체 별도·개별 재무제표 기준 올해 상반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총 매출액은 15조786억원으로 전년 동기 13조5466억원 대비 11.3%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메디파나뉴스가 90개 상장 업체를 대상으로 집계했던 7% 내외 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이다. 매출 증가에 맞춰 총 영업이익도 1조7030억원으로 전년
경영실적분석
조해진 기자
24.08.09 05:59
삼바·셀트리온, 제약·바이오 '2강 체계' 갈수록 견고해진다
2024년 2분기 제약·바이오 상위 5개사 잠정실적 분석 총 매출액 6조2445억원, 전년동기대비 21.6% 상승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실적 가파른 성장 영향 한미약품, 1분기부터 상위 5개사 자리매김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매출 상위권을 고수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의 2강 체제가 더욱 견고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8일 메디파나뉴스가 제약·바이오 주요 기업 상위 5개사의 2024년도 상반기 잠정 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반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크게 성장하거나, 영업이익과 순이익 부문이 일시적인 요인으로 크게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5개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잠정실적 총 매출액은 6조2445억원으로 전년동기 5조1336억원 대비 21.6% 증가했다.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의 매출액이 다른 기업 대비 매우 크게 증가한 결과다. 삼성바이오로직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제일약품, 신약 '자큐보' 적응증·시장 확대 행보 활발
2
[진단] 대체조제·성분명처방…의정갈등 다음은 의약갈등 우려
3
HER2 저발현 이정표 세운 '엔허투'…동반진단 시장도 들썩
4
대웅, 환자 모니터링 시장 자신감…근거는 영업력·급여·편의성
5
식약처, 예산 늘려 '마약 예방 교육' 확대…성과로 이어질까
6
의학드라마 실제 '촬영 병원' 어디?‥인기따라 관심도↑
7
"빠른 신약허가·심사 위한 CDISC 적용 환경 만들어 나갈 것"
8
현대바이오, 859억 유증 확정…최초 계획 대비 89억 감소
9
보령, 지난해 매출 1조원 돌파…코프로모션·LBA '성공적'
10
1월 코스피 외투 순증, SK바사·삼바로직스 2개사에 집중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