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신동혁 기자
23.08.10 06:08
[초점] 일동제약, 재무구조 개선 승부수…적자 부담 확 덜었다
신설 R&D 자회사에 1000억대 투자 유치…적자탈피·신약 전문성 '두 마리 토끼' "희망퇴직·구조조정 등 회사 재정비 마지막 수순"
[메디파나뉴스 = 신동혁 기자] 과도한 연구개발비 지출로 적자를 면치 못하던 일동제약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연구개발(R&D) 부문을 '유노비아'라는 사명으로 물적분할, 신설 벤처 자회사로 떼어내 적자부담을 줄이고 투자유치를 늘려 기업가치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일동제약은 올해 2분기 별도기준 영업손실 180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에 이어 적자를 지속했다고 9일 잠정공시했다. 같은기간 매출액은 1537억원으로 5.1% 줄었으며 순손실은 236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코로나19 여건 변화로 인한 신속항원검사키트 판매 감소가 악영향을 미쳤다"며 "경영쇄신 방침에 따라 연구개발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8.10 06:05
호실적 이어가는 제약업계, 상반기 매출 성장 지속
19개사 중 15개사 증가…9개사는 두 자릿수 확대 영업이익 100억 원 넘은 제약사 15곳…영진·경보 '흑자전환'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성장세가 올해 상반기에도 이어진 모습이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9일까지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제약사 중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곳은 19개사(연결 8개사, 별도 9개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매출이 늘어난 곳은 15개사, 줄어든 곳은 4개사로 대부분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에스티팜, 보령, 휴젤, 환인제약, 경보제약, 휴온스, JW중외제약, 한미약품은 두 자릿수 증가를 보였으며, 유나이티드제약과 종근당, 영진약품, 대웅제약, 유한양행, 한독은 매출 증가를 보였다. HK이노엔과 동아에스티, GC녹십자, 일동제약은 매출이
경영실적분석
신동혁 기자
23.07.31 06:06
유한양행, 2분기 영업익 '세 자릿수' 증가…로수바미브‧자디앙 '급성장'
의약품 사업 매출 3549억…전년 동기 대비 2.5%↑ 혁신신약 파이프라인 총 9개…적응증 3개 임상 3상 단계
[메디파나뉴스 = 신동혁 기자] 유한양행이 세 자릿수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달성했다. 30일 유한양행 기업설명회(IR)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별도기준 유한양행의 영업이익은 2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 늘어난 4820억원을, 당기순이익은 7% 줄어든 178억원을 기록했다. 의약품 사업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난 3549억원, 생활유통 부문 매출액은 6% 증가한 599억원이다. 연구개발(R&D) 비용은 1.1% 소폭 상승한 378억원으로 나타났다. 해외사업 부문의 매출액은12.5% 성장한 567억원을 기록했다. 외부로부터 수령하는 라이선스 수익은 73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7.28 06:09
연매출 7000억 원대 진입한 보령, 올해 목표 '초과달성' 가시화
상반기 매출 4201억 원 달성…성장세 유지 시 8000억 원대 후반 매출 가능 항암제 부문 LBA 브랜드 순항에 48% 성장…Specialty Care 21%·당뇨 17% 매출 증가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최근 수 년 사이에 실적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는 보령이 올해 상반기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 다시 한 번 놀랄 만한 실적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령은 지난 27일 2분기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상반기 매출액은 42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3.74% 증가한 350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초 보령은 연간 매출액 목표를 8100억 원, 영업이익 목표는 610억 원으로 설정한 바 있는데, 상반기 동안 이러한 목표의 절반 이상을 달성한 셈이다. 특히 매출액의 경우 단순 계산이기는 하지만 상반기 성장률을 하반기에도 유지할 경우 올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7.17 12:22
JW중외제약, 주가 수직상승‥ 실적+AI관련 재료 효과
제약바이오주가 오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JW중외제약 주가가 급등해 관심을 끌고 있다. JW중외제약 주가는 지난달 하순 최저점(2만2050원)을 찍은 이래 6월30일부터 상승하기 시작, 7월 17일 현재까지 계속 오르며 60%나 급등했다. 17일 오전 11시57분 기준 전날 대비 3.69% 상승한 3만5150원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차익 매도 물량도 늘어나고 있는 상태다. 제약바이오주의 장기간 약세 속에 JW중외제약의 이같은 상승 배경에는 실적과 AI의 재료를 타고 있다는 평가다. JW중외제약 올 2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1892억 원, 영업이익 191억 원으로 추정(이베스트투자증권 전망)되고 있으며,
경영실적분석
신동혁 기자
23.06.26 06:09
동아에스티, 3년간 R&D 비용 13%↑…글로벌 시장 '정조준'
3년간 총 2453억 투자…당뇨병·치매·비만약 등 개발 박차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 유럽‧미국 품목허가 신청 예정
동아에스티가 최근 3년간 연구개발(R&D) 비용을 대폭 늘리며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글로벌 제약사 출신의 중개연구 전문가 박재홍 사장을 R&D 총괄 담당자로 영입해 역량을 강화하는 추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동아에스티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R&D 비용으로 총 2453억원을 투입했다. 구체적인 투자 비용은 △2020년 762억원 △2021년 823억원 △2022년 868억원으로, 3년 사이 13% 급증했다. 동아에스티는 최근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바이오시밀러 'DMB-3115' 출시에 힘을 쏟고 있다. 이달 중 유럽 의약품기구(EMA
경영실적분석
신동혁 기자
23.06.19 12:09
JW중외제약, 4년 연속 R&D 투자 확대…주요 임상 '순항'
1분기 R&D 비용 203억…전년 동기 대비 93.3% ↑ 매출 대비 비중 11.8%…기술 수출 성과로 직결
[메디파나뉴스 = 신동혁 기자] JW중외제약이 4년 연속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며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지난 2019년부터 꾸준히 R&D 투자액을 늘려왔다. 구체적인 금액은 △2019년 407억 △2020년 507억 △2021년 513억 △2022년 611억 순으로 점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기조는 올해까지 이어져 1분기 R&D 비용은 20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05억 원) 대비 93.3%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 대비 R&D 비중도 6.8%에서 11.8%로 급증했다. 매출은 2021년 6066
경영실적분석
이시아 기자
23.05.23 06:06
상장 제약기업 판관비율, 전년比 1.7%p증가로 소폭 상승
90개 기업 평균 30.9%…56개사 늘고, 34개사 줄어 SK바사, 전년 대비 118.4%p↑…알피바이오·화일약품·KPX생명과학 '한 자릿수'
[메디파나뉴스 = 이시아 기자] 올해 1분기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의 평균 판관비율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의 기업들이 판관비를 늘렸다. 메디파나뉴스가 90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2023년도 1분기 판매관리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 1분기 올린 총 매출 7조6826억 원 중 판관비로 2조3708억 원을 지출, 판관비율은 평균 30.9%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29.2%의 판관비율을 기록했는데, 올해 1분기에는 이보다 1.7%p 늘었다. 90개 기업 중 절반이 넘는 56개사의 판관비율이 늘었고, 34개사가 줄었다. 판매관리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20 06:02
3세 경영 시작된 대한약품, 멈추지 않는 성장 지속될까
1분기 매출 461억 원·11.6% 증가…영업이익 15.3%·순이익 18.3% 확대 매출보다 매출원가·판관비 증가폭 낮아…이승영 대표 체제 전환 이후 행보 주목해야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꾸준하게 최대매출을 경신해 온 대한약품이 올해 1분기에도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이 같은 상황에 지난 4월 오너 3세인 이승영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돼, 기존의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한약품의 지난 1분기 매출액은 461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413억 원 대비 11.6% 성장했다. 매출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은 15.3% 증가한 90억 원, 당기순이익은 18.3% 증가한 73억 원으로 집계됐다.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모두 두 자릿수 성장한 것은 물론 매출보다 이익 규모가 더 큰 폭으로 증가했던 것. 이처럼 수익성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매출 성장에 비해 매출원가와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9 06:07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전체 현금흐름 늘었지만 개별 기업은 악화
91개사 총 현금유입 규모 6690억 원·34.8% 증가…29개사 늘고 61개사 줄어 삼바 3000억 원대·셀트 증가율 1000% 육박…제외 시 25% 감소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 1분기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실제 영업활동을 통해 발생시킨 현금유입 규모가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영업이익·순이익 규모가 월등하게 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을 제외하면 전체 규모는 되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1분기 현금흐름표(연결재무제표 기준) 중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Cash From Operation, CFO)'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1분기 4961억 원에서 올해 1분기 6690억 원으로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8 06:09
제약·바이오기업 '매출원가비율' 개선…1.1%p 낮아져
91개사 평균 56.7%…55개사 줄고 34개사 늘어 SK바이오팜 '한 자릿수'…SK바이오사이언스 95.7%로 명암 갈려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제약기업의 수익성에 직결되는 매출원가비율이 연초부터 적잖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3년도 1분기 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매출원가비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매출 7조7230억 원 중 매출원가가 4조3790억 원을 차지해 56.7%의 매출원가비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인 2022년도 1분기 평균 57.8% 대비 1.1%p 낮아진 것으로, 매출이 8.2% 증가하는 동안 매출원가는 6.1% 증가하는 데 그쳐 매출원가비율이 개선될 수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7 11:47
동성제약 흑자전환, '제품 비중 확대'·'판관비 개선'이 비결
전년 대비 매출 소폭 감소 불구 영업이익 흑자…제품 매출은 되레 늘어 판관비 규모 100억 원 미만으로 축소…연간 실적 흑자 달성에 주목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던 동성제약이 최근 들어 흑자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체질 개선이 가능했던 것은 자체 제품비중의 확대와 함께 판관비를 개선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성제약은 지난 1분기 매출 215억 원, 영업이익 8억9700만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1분기 224억 원보다 매출이 소폭 줄어들기는 했지만, 영업이익은 17억 원의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한 것. 특히 동성제약은 지난 2017년 영업이익 흑자에서 2018년 적자로 돌아선 이후 지난해까지 계속해서 적자를 기록했는데, 올해는 1분기부터 흑자를 달성해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이처럼 동성제약이 만성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7 06:09
제약·바이오기업 수익성 갈수록 악화…영업이익률 '한 자릿수'
91개사 평균 9.5%·0.5%p 하락…개선 기업 43개사로 절반 못 미쳐 삼바·셀트 제외 시 5.6%·1.1%p 떨어져…에이비엘바이오 매출 절반 이상 수익 남겨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매출은 꾸준하게 늘고 있는 반면 수익성은 갈수록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지난 1분기 1000원 어치를 팔아 95원을 남기는 장사를 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에 비해 5원 가량 줄어든 것으로, 매출 성장에 비해 영업이익 성장 속도가 더디기 때문이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3년도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실적을 통해 분석한 '영업이익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달성한 총 매출은 7조7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6 11:48
분기 매출 1000억 육박 동화약품, 잇치·판콜이 성장 견인
1분기 연결 매출 994억 원…전년 대비 16.6% 성장 잇치 85%, 판콜 32% 확대…매출 증가분 중 절반 이상 차지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올해 1분기 동화약품이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한 데에는 치약형 잇몸치료제 '잇치'와 감기약 '판콜'의 성장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동화약품은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994억 원의 매출을 달성, 분기매출 1000억 원에 근접한 성과를 일궈냈다. 전년 동기 853억 원보다 16.6% 증가한 것으로, 금액으로는 141억 원이 늘었다. 이러한 매출 증가에 가장 큰 지분을 차지하는 제품이 잇치와 판콜로, 매출 증가액의 절반 이상이 두 제품군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잇치의 경우 지난해 1분기 63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올해에는 115억 원으로 84.6% 증가했고, 판콜에이와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6 06:09
90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1분기 영업실적 '순항'
전체 매출 7조7019억 원·8.1%↑…영업이익 2.3%·순이익 35.8% 늘어 64개사 매출 증가…영업이익·순이익 증가 기업 '절반 이하'
[상장제약기업 2023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른 높은 기저효과로 올해 1분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실적 상승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90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3년도 1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은 평균 8.1% 증가한 7조7109억 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2.3% 증가한 7285억 원, 당기순이익은 35.8% 증가한 6794억 원이었다. 90개사 중 매출이 늘어난 기업은 64개사, 줄어든 기업이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15 06:07
SK바이오사이언스, 엔데믹 시대 매출 회복 돌파구는?
1분기 매출 206억 원…코로나19 이전보다 저조 연구개발비 증가로 판관비 확대…독감백신 판매 재개로 만회 기대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코로나19 관련 매출이 급감하면서 적자를 기록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올해 회복세로 돌아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별도재무제표 기준 지난 1분기 매출은 2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4%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238억 원에서 올해에는 287억 원의 적자로 돌아섰고, 순이익 역시 138억 원의 적자로 전환했다. 이 같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실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비교했을 때에도 저조한 모습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0년 1분기 227억 원, 2019년 1분기에는 267억 원의 매출을 올려 올해 1분기보다 높았다. 영업손실의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09 11:55
효율 끌어올린 바이넥스, 영업이익 대폭 개선 성공
1분기 영업이익 86억 원·190.8%↑…매출액 36.5% 매출원가 19%·판관비 29% 증가…매출액보다 증가폭 낮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바이넥스가 매출액과 함께 효율을 끌어올리면서 수익성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넥스가 9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바이넥스의 지난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5% 증가한 482억 원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30억 원에서 190.8% 증가한 86억 원을 기록했고,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 8.4%에서 올해 1분기에는 17.9%로 대폭 개선될 수 있었다. 이처럼 바이넥스의 경영 효율이 높아질 수 있었던 것은 매출액 증가에 비해 매출원가와 판매비 및 관리비의 증가폭이 작았기 때문이다. 바이넥스의 올해 1분기 매출원가는 250억 원으로 전년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09 06:06
동아제약 '오쏘몰' 1분기 매출 성장 '1등 공신'
1Q 매출액 278억 원·155% 증가…매출 증가액 중 62% 차지 매출 비중 20% 육박…대표 품목 '박카스' 뒤이어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 1분기 동아제약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이 같은 성장세의 이면에는 박카스와 함께 프리미엄 비타민 브랜드 '오쏘몰'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쏘시오홀딩스가 공개한 기업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동아제약의 지난 1분기 매출은 14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1148억 원 대비 23.7%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272억 원이 늘었다. 주목되는 점은 이 같은 성장의 상당부분이 오쏘몰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1분기 오쏘몰의 매출은 2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109억 원 대비 155.0%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무려 169억 원이나 증가해 동아제약 매출 증가분 272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3.05.08 06:09
엔데믹 전환에도 매출 증가 지속…11곳 중 9곳 실적 상승
1분기 매출 1000억 이상 11곳…삼바·한미·보령·휴온스 두 자릿수 성장 유한양행 영업이익 대폭 개선…GC녹십자 적자전환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높은 매출을 기록했던 만큼 올해부터는 매출 감소가 우려됐지만, 상위 제약사들은 대체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 5월 4일까지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제약사 중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한 곳은 11곳(연결 5개사·별도 6개사)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매출이 늘어난 기업은 9곳, 줄어든 곳은 2곳으로 대부분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한미약품, 보령, 휴온스의 매출액이 두 자릿수 증가했고, 유한양행과 종근당, 대웅제약, HK이노엔, 한독도 매출이 늘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3.05.06 06:08
주가수익비율, 한올바이오파마 4,510배 '최고'‥팜젠사이언스 1배
제약·바이오기업 95개사, 주식투자 판단지표 'PER' 분석 경보 282배, 삼천당 247배, 종근당H 237배, 비씨월드 202배 順 대한뉴팜과 진양 5배, 고려제약과 대웅 6배,대한약품과 신일 7배
[상장제약기업, 2022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주가수익비율(PER) 국내 증시 4일 코스피(KOSPI)는 2거래일 연속 하락, 코스닥(KOSDAQ)은 하루 만에 상승 기조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이 의약품업종을 728억 매수했다. 코스닥은 전일 나스닥 하락 등 영향으로 하락 출발 후, 개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마감한 가운데 제약업종은 +2.1% 상승했다.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우 높은 성장성에 대한 기대만큼 기업가치도 크게 증가했던 시기도 있었으나 수년전부터는 글로벌 빅파마에 신약물질 기술수출 성과에도 제약주가 상승폭은 예년과는 달랐다. 이는 국내외 전반의 경제상황과도 연관이 있겠지만, 그만큼 제약바이오산업을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진단] 대체조제·성분명처방…의정갈등 다음은 의약갈등 우려
2
제일약품, 신약 '자큐보' 적응증·시장 확대 행보 활발
3
HER2 저발현 이정표 세운 '엔허투'…동반진단 시장도 들썩
4
대웅, 환자 모니터링 시장 자신감…근거는 영업력·급여·편의성
5
식약처, 예산 늘려 '마약 예방 교육' 확대…성과로 이어질까
6
의학드라마 실제 '촬영 병원' 어디?‥인기따라 관심도↑
7
"빠른 신약허가·심사 위한 CDISC 적용 환경 만들어 나갈 것"
8
현대바이오, 859억 유증 확정…최초 계획 대비 89억 감소
9
1월 코스피 외투 순증, SK바사·삼바로직스 2개사에 집중
10
보령, 지난해 매출 1조원 돌파…코프로모션·LBA '성공적'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