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16 06:09
43개 다국적제약사, 매출 8조 2,252억 달성‥ 12.1% 성장
영업이익 33.6%, 순이익 119.4% 급증…BMS·릴리 등 유한회사들 실적 공개돼
[다국적 제약사 2020년도 경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국내 시장에 진출해 있는 다국적 제약사들은 지난해 두자릿수 매출 성장은 물론 수익성에서도 호조세를 보였다. 메디파나뉴스가 외부 감사 대상으로 지난 15일까지 공시한 43개 다국적제약기업들(의료소모품이나 의료장비 주력 기업 일부 포함)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를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매출은 8조 2,252억 원을 달성해 전기 7조 3,353억 원 대비 12.1%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33.6% 늘어난 4,233억원을 올렸고, 당기순이익은 119.4% 급증한 6,645억 원을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 부문에서는 집계 대상 중 12개사만이 한자릿수 정도의 역성장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1.04.16 06:06
유통사, 매출 늘었지만 지급수수료 더 늘어나…부담감 여전
매출 500억 이상 87개사 합산 2965억원·업체당 34억 규모…매출액 대비 1.3% 차지 매출액 증가는 14.3%·지급수수료 증가는 18.1%…64개사 늘고, 23개사 줄어
[의약품 유통업체 2020년도 경영분석 시리즈] ④지급수수료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지난해 의약품 유통업체들의 매출액이 상승한 것보다 지급수수료의 상승폭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매출에서 지급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소폭 증가해 업계의 부담감이 여전한 것으로 파악된다. 메디파나뉴스가 지난해 매출 500억 이상 올린 87개 유통업체들을 대상(외자사 및 제약사 계열사 등은 제외)으로 집계한 ‘2020년도 지급수수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업체가 수수료로 지출한 금액은 2,965억원 규모로 전년도 2,511억원에 비해 18.1% 증가했다. 이는 업체당 평균 34억 837만원을 지불한 셈으로,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15 06:09
비상장제약, 영업이익률 10.9%‥명인 33.4% 최고
74개사 전기比 0.2% 하락, 코로나19 시국에 비교적 `선방`…32개사만 늘어 `희비교차`
[비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비상장 제약사들은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두자릿수 영업수익성을 유지하며 선방했다. 그러나 전기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다. 메디파나뉴스가 외부감사 대상 중 지난 14일까지 2020년도 감사보고서를 공시한 74개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영업이익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5조 3,903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영업이익은 5,894억 원을 올려 평균 10.9%의 수익률을 보였다. 이는 2019년도 11.1%에 비해 0.2%p 줄어든 수치로, 매출은 5.1% 성장한 반면 영업이익은 3.5% 늘어나는데 그친 결과다. 그러나 상장제약사들(71개사 연결 기준)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1.04.15 06:06
의약품유통사, 영업이익 증가·이자 비용 감소
매출 500억 이상 76개 업체 집계, 이자보상배율 8배…업체당 이자비용 평균 3.9억 원 무차입경영 대전지오영 합류 등 7개사…신덕약품 2,882배 `최고`·백제에치칼·신덕팜 順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지난해 의약품 유통업체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면서 금융권에서 빌려쓴 자금의 이자를 갚을 능력이 올라가고 소요되는 비용 역시 감소했다. 메디파나뉴스가 매출 500억 이상 76개 유통업체(외자, 제약사 설립, 약국체인, 특정병원 전납업체 제외)를 대상으로 분석한 ‘2020년도 이자보상배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자를 갚을 능력은 평균 8배로 지난해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 분석 대상이 된 유통업체들은 지난해 2,549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전기에 비해 13.2% 증가했다. 이중 금융(이자)비용으로는 306억원이 소요됐다. 전년도에는 2,252억원원의 영업이익을 올렸고 이자비용은 342억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1.04.14 06:07
84개 유통사, 2020년도 조마진율 6.2%…매년 감소세 여전
지난해 유통업계 매출·영업이익·순이익 상승에도 조마진율 감소…저마진 현상 심화 <br>매출 500억 이상 업체 기준, 전년 6.5% 대비 0.3%p 감소…병원 전납업체들 강세 지속
[의약품 유통업체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조마진율 지난해 코로나19 등의 영향 속에서도 의약품유통업체들의 매출·영업이익·순이익이 상승했으나 저마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년 낮아지고 있는 조마진율이 지난해에도 6.2% 수준으로 지난해에 비해 한층 더 낮아졌기 때문이다. 메디파나뉴스가 매출 500억원 이상의 84개 의약품 유통사의 2020년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기업은 지난해 평균 6.2%의 조마진율을 확보했다. 이는 분석대상 기업들의 전년 평균인 6.5%에 비해 0.3%p 감소한 수치다. 조마진은 인건비를 비롯한 판매관리비 등 일체의 비용을 제외하기 전 이익률로, 유통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13 06:08
비상장제약, "형만 한 아우 없나" 상장사 비해 저조
70개사, 지난해 5조777억 매출로 4.9% 성장‥ 영업-순이익 모두 4%대 증가세
[비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비상장 제약사들은 지난해 한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4%대의 매출 성장과 영업-순이익 모두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인 상장 제약·바이오기업(88개사 연결재무제표 기준)의 실적과 대조를 보였다. 메디파나뉴스가 외부감사 대상 중 지난 12일까지 감사보고서를 공시한 70개 비상장 제약기업들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0년도 영업실적(개별 기준) 자료에 따르면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5% 미만의 한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70개사가 지난해 달성한 매출액은 5조 777억 원 규모로, 전년도 4조 8,384억 원에 비해 4.9% 성장했다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1.04.13 06:06
130개 유통사 코로나19에도 성장세 유지… 14%↑
매출액 101개사 증가…51개사는 두자릿수 이상 성장세 기록<br>영업이익 6.9%·순이익 17.8% 증가 기록…지오영 등 상위사 성장 주도
[의약품 유통업체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지난해 코로나19 속에서도 의약품 유통업체가 매출 성장을 지속했다. 특히 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던 지난 2019년에 비해 순이익까지 성장세를 이어가며 어려움을 이겨냈다. 메디파나뉴스가 각 유통업체가 공시한 `2020년도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130개 유통사(제약사 투자 유통업체 및 12일 기준 감사보고서 미제출 기업 제외)의 매출 합계액은 22조 5,970억원으로 전년 19조 8,203억원에 비해 14% 성장했다. 이를 분류해보면 전년도에 비해 매출액이 성장한 기업은 총 101개사로 이중 51개사는 두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12 06:05
상장제약 ROE, 평균 6.1%‥돋보인 휴온스 23.2%
75개사 자기자본순이익률 집계, 전년比 0.7%p 증가…21개사만 늘어 종근당 16.4%, 셀트리온 15%, 동국제약 13.3%, 삼진제약 13.1% 順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7) 자기자본순이익률(ROE) 국내 상장 제약기업들은 지난해 매출은 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두자릿수 증가세를 보이면서 자기자본순이익률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5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자기자본순이익률 현황`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올린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26.4% 늘어난 1조 3,129억 원을 올린 가운데 자기자본은 12.3% 늘어난 21조 4,444억 원 규모로 집계돼 평균 6.1%의 비율을 보였다. 이는 전기 5.4%에 비해 0.7%p 증가했다. 그러나 전체 평균으로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08 06:02
이자 갚을 능력, 환인 917배 `최고`‥에스텍·하나 順
74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 `이자보상배율` 평균 5배로 소폭 하락 29개사↗, 39개사↘…금융비용 업체당 52.5억 꼴, 46개사↑, 28개사↓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16) 이자보상배율 국내 상장제약기업들이 회사 운영을 위해 금융권에서 빌린 자금의 이자를 갚을 능력이 소폭 떨어졌다. 메디파나뉴스가 74개 상장제약·바이오사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이자보상배율 현황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지난해 차입금 등을 갚는데 소요된 금융비용이 3,886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도 2,323억원과 비교해 76.3% 증가했다. 또한 이들 기업이 지난해 올린 영업이익은 1조 7,919억원 규모로 전기(1조 3,627억)에 비해 31.5% 늘어났다. 이에 따른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5배로 분석돼, 전년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05 06:01
곳간에 쌓아둔 잉여금, 유한 1.6조‥ GC녹십자 1조
74개 상장제약사, 7.7% 증가한 13조1,822억…57개사↗, 14개사↘, 3개사 결손 유보율, 평균 645%로 전년比 3%p 늘어‥대한약품·비씨월드제약 5천%대 `최고`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⑮사내유보금 및 유보율 상장제약기업들이 지난해 말까지 곳간에 쌓아놓은 사내유보금이 13조원을 넘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4개 상장제약사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통해 분석한 `사내유보금 및 유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말 현재 잉여금을 13조 1,822억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말에 비해 7.7% 증가한 금액이다. 업체당 평균 1,781억 여원을 보유하고 있는 꼴로 전기에 비해 127억 여원 가량이 늘어난 셈이다. 이들 기업이 납입한 자본금 총액은 전기에 1조 6,493억 원에서 지난해는 이보다 7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1.04.02 06:08
상장제약 연구인력 평균 15%…파미셀 '절반 이상'
68개사에 6922명 근무…씨젠 42.0%·에이프로젠 35.8%<br>대한약품 등 5개사 5% 미만…인력 수 셀트리온·종근당·한미·녹십자 順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⑭연구개발 인력 현황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내 제약사 직원 100명 중 15명 이상이 연구개발 분야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이 최근 공시한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연구개발 인력을 공개한 65개사를 대상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전체 직원 수는 4만5590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연구개발 분야 근로자는 6922명으로 평균 15.2%의 비율을 보였다. 기업당 평균 102명이 근무하는 셈이다. 기업별로는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개발 업체인 파미셀이 50.9%로 절반 이상의 직원이 연구개발 분야에서 일해 가장 높은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1.04.01 06:06
줄어만 가는 복리후생비… 1인당 평균 400만 원대로 감소
73개 상장제약사, 전년比 10만 원씩 줄어…직원수 늘고 총액 축소<br>명문제약 2020만 원 최고…진양·하나·JW신약·현대·대한뉴팜 1000만 원대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⑬복리후생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지난해 직원들의 복리후생비로 1인당 490만 원 가량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 년간 복리후생비 감소가 계속되는 가운데 평균 복리후생비가 400만 원대로 낮아진 것이다. 메디파나뉴스가 73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0년도 직원 1인당 복리후생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지난해 복리후생비로 총 2331억 원(개별재무제표 기준, 판관비 상 복리후생비만 반영)을 지출, 전년 대비 0.9% 감소했다. 반면 전체 직원 수는 4만6671명에서 4만7660명으로 늘었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4.01 06:05
제약기업들, 약값 회수기간 3개월…"활동성과 직결"
75개 상장사 집계, 평균 93일로 전년比 5일 단축‥늘어진 기업 9개사에 불과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⑫매출채권 회전일 국내 제약기업들은 지난해 의약품을 판매하여 대금을 회수하기까지 평균 3개월 가량 걸렸다. 메디파나뉴스가 75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들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분석한 `매출채권 회전기일`(receivable turn over period)에서 평균 93일로 나타났다. 2019년도 98일에 비해 5일이 짧어진 것이다. 기업평균 93일의 회전기일을 회전율로 따졌을 경우 3.9회전으로 집계됐다. 이는 의약품을 생산·판매하여 대금을 최종 회수하는 횟수가 연간 3.9회전을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회전율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1.03.31 06:09
화일약품·유한양행, 직원 1인당 매출액 8억원대…업계 최고
72개 상장사 평균 4억3500만 원…전기 대비 9.2% 증가<br>46개사 늘고 26개사 줄어…셀트리온·알리코·광동·제일 7억 원대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⑪직원 1인당 매출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에 대해 생산성지표 중 하나인 직원 1인당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7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사업보고서(개별재무제표 기준)를 토대로 집계한 '직원 1인당 매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1인당 평균 4억3500만 원의 매출을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3억9900만 원 대비 3700만 원 가량 생산성이 높아진 셈이다. 72개사가 공개한 개별재무제표 기준 전체 매출액은 20조8325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으며, 직원수는 4만78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1.03.30 06:08
증가한 제약기업 '수출비중'…진단키트 빠지니 되레 줄어
66개 상장사 평균 13.6%로 1.1%p 상승…수출액 규모 20.7% 증가<br>씨젠·바이오니아 제외 시 1.1%p 하락…31개사 늘고 30개사 감소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⑩수출액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국내 제약기업들의 수출액과 수출비중 모두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진단키트 기업들을 제외하면 되레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메디파나뉴스가 상장제약·바이오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통해 2020년도 수출액 10억 원 이상을 올린 66개 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수출액은 2조7685억 원으로 2019년 2조2929억 원 대비 20.7% 증가했다. 매출액과 비교한 수출비율 역시 13.6%로 전년 대비 1.1%p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이 급증하면서 매출과 수출액이 급증한 씨젠과 바이오니아를 집계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3.29 06:06
현금성자산, 셀트리온 6,983억 최다‥유한 4,411억
75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 4조 6,332억원 규모 집계…평균 29.5% 급증 씨젠 3100억, 녹십자 2322억, 신풍 1785억, 대웅 1771억, 동국 1749억 順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⑨현금성자산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의 `현금성 자산`이 지난 1년 사이 30% 가까운 증가폭을 보였다. 메디파나뉴스가 상장제약·바이오기업 75곳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연결재무제표)를 토대로 분석한 `현금성자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은 2020년말 기준 4조 6,332억원 규모로 집계돼 2019년말 3조 5,774억원에 비해 29.5%(1조 558억)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집계 대상 75개 기업 중 현금성 자산이 증가한 기업은 절반이 넘는 45개사로 늘었고, 30개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성자산`이란?, 기업들의 현금,
경영실적분석
허** 기자
21.03.26 06:09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부채비율 소폭 증가…평균 53.2%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⑧부채비율<br>91개사 중 47개사 줄고 44개사 늘었으나 전체 비율 1.7%p 증가…에이프로젠제약 2.8% 최저<br>국전약품 197.7%서 29.3%로 대폭 비율 감소…코오롱생명과학은 145.3%p 대폭 증가
[메디파나뉴스 = 허성규 기자] 지난해에 이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부채비율(debt ratio)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파나뉴스가 91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2020년도 부채비율 현황(연결재무제표 기준)' 자료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자본총계 29조 7771억 원에 부채총계 15조 8405억 원으로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53.2%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집계 대상 기업들의 지난 2019년 비율인 41.5%에 비해 1.7%p 증가한 것이다. 다만 부채비율이 소폭 증가했음에도 국내 제조업 평균 100% 내외와 비교했을 때에는 여전히 절반 수준을 유지했다. 부채비율은 부채와
경영실적분석
김창원 기자
21.03.25 06:08
영업활동현금유입, 씨젠·셀트리온 3천억 '고공행진'
84개 상장제약사, 지난해 40.7% 증가한 2조5459억 원…39곳 늘고 45곳 줄어<br>삼성바이오로직스·한미약품·SK바이오사이언스·종근당·대웅제약 1000억 원 이상 유입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⑦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의 지난해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이 대폭 증가했다. 하지만 개별 기업으로 보면 감소한 기업이 더 많아 일부 기업의 양호한 흐름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메디파나뉴스가 84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2020년도 현금흐름표(연결재무제표 기준) 가운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Cash From Operation, CFO)을 분석한 결과 2019년 1조8096억 원에서 2020년 2조5459억 원으로 40.7%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재무제표상 평균 영업이익은 약 8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3.25 06:02
상장제약기업, 미등기임원 연봉 평균 1억5,500만원
일동홀딩스 3.6억, 종근당홀딩스 2.9억 順‥ 78개사, 총 883명 근무 기업당 11명 꼴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 미등기 임원 연봉 국내 상장제약기업의 미등기 임원들은 지난해 연봉을 얼마나 받았을까? 메디파나뉴스가 상장제약·바이오기업 78개사(지주사 포함)를 대상으로 집계한 `미등기 임원들의 연봉 현황`에 따르면 평균 1억5,500만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78개사의 미등기 임원은 총 883명으로 집계돼, 기업당 평균 11명을 두고 있다. 각 기업들은 공시기준에 따라 직원연봉과 등기임원(사내·사외이사) 연봉, 5년전부터 5억 이상 급여를 받는 경영인들의 상세내용까지 공개되고 있는 가운데 2018년도 사업보고서부터 처음으로 미등기 임원들의 평균 연봉도 공개되기 시작했다. 전체 보
경영실적분석
최봉선 기자
21.03.24 06:08
제약기업 직원들, 지난해 연봉은?…평균 5,937만원
70개 상장사 집계, 남자 6,522만원 · 여자 4,590만원‥남녀 격차 1,932만원
[상장제약기업 2020년도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직원 연봉 상장제약기업 직원들은 지난해 평균 5,937만원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녀직원들의 연봉격차는 여전히 2천만원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메디파나뉴스가 70개 상장제약·바이오기업(지주사 포함)의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2020년도 직원 연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직원은 4만2,171명에 남자 2만9,466명, 여자 1만2,705명이 종사(소속외 근로자 제외)하고 있어 7:3 비율을 보였다. 근속년수는 평균 7.6년에 남자가 8.1년, 여자가 6.5년을 근무해 남녀간 1.6년의 근속차를 보였다. 남자들의 평균 연봉은 6,522만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제일약품, 신약 '자큐보' 적응증·시장 확대 행보 활발
2
[진단] 대체조제·성분명처방…의정갈등 다음은 의약갈등 우려
3
HER2 저발현 이정표 세운 '엔허투'…동반진단 시장도 들썩
4
대웅, 환자 모니터링 시장 자신감…근거는 영업력·급여·편의성
5
식약처, 예산 늘려 '마약 예방 교육' 확대…성과로 이어질까
6
의학드라마 실제 '촬영 병원' 어디?‥인기따라 관심도↑
7
"빠른 신약허가·심사 위한 CDISC 적용 환경 만들어 나갈 것"
8
현대바이오, 859억 유증 확정…최초 계획 대비 89억 감소
9
보령, 지난해 매출 1조원 돌파…코프로모션·LBA '성공적'
10
1월 코스피 외투 순증, SK바사·삼바로직스 2개사에 집중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